중고차 바퀴 씻어 내 차에…'폭탄 수리비' 내막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살짝 접촉 사고가 났는데 피해 차 수리비가 터무니 없이 많이 나왔습니다. 달라는 대로 다 줄 수 밖에 없었죠. 이런 수리비 뻥튀기가, 작년 한 해에만 40억 원 규모였다고합니다. 오늘(23일)부터 처벌이 강화됩니다.

장세만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 외제차 정비업소입니다.

직원 한 명이 중고차에서 떼낸 휠을 물로 씻고 있습니다.

이런 중고 부품을 사고 차량에 달아준 뒤, 새 부품인 것처럼 수리비를 청구하다 경찰에 걸렸습니다.

이렇게 자동차 수리비를 허위·과장 청구하다 적발된 자동차 정비액수가 지난 한 해 40억 원 규모.

전년보다 배로 늘었습니다.

[김기연/택시기사 : 볼트 얼마, 펜벨트 얼마, 후크 얼마, 이런거 소비자들이 모르잖아요.]

특히 교통사고가 났을 때 가해 차량보다 피해 차량을 고칠 때 수리비 뻥튀기가 많이 적발됐는데 다 이유가 있었습니다.

[임기상/자동차 10년타기 운동본부 : 피해 차량은 내 돈으로 고치는 게 아니고 정비공장은 견적을 키울 수가 있고, 보험사들은 할증으로 떠넘길 수 있기 때문에 부풀리기는 얼마든지 가능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처럼 자동차 정비료를 허위로 부풀리다 적발될 경우 처벌이 한층 강화됩니다.

지금까진 경찰 수사와 기소 절차를 거쳐야 하는 형사처벌 대상이었지만, 앞으로는 정비업체 영업정지나 등록 취소같은 행정 처벌이 추가되기 때문입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