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파일] 그 치마 속에 들어가고 싶다

한국의 젊은 디자이너 ① 아무송(Aamu Song)


선정적인 제목입니다. "이거 낚시 아냐?" 생각하시는 분도 있을 겁니다. 하지만, 이 글을 보시면 분명히 ‘치마 속’에 들어가고 싶으실 겁니다.

며칠 전 머리를 하러 미용실에 갔다가 한 잡지를 보게 됐습니다. 여자들은 머리를 하는 데 은근히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패션잡지, 여성잡지를 봅니다. 여느 때처럼 화려하고 예쁜 옷과 액세서리에 정신을 빼앗긴 채 책장을 막 넘기고 있는데, 순간 눈이 번쩍 뜨이는 사진이 나타났습니다. 잡지 뒤쪽 한 페이지에 자그마하게 찍힌 사진이었는데, 시선을 확 끄는… 매력을 넘어 마력이 있는 듯한 작품 사진이었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치마폭이 어마어마하게 넓은 빨간 드레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나 나올법한 드레스 사진이었습니다.

이런 옷은 누가 입을까.

오프라인 - SBS 뉴스

드레스를 입은 사람은 ‘앨리스’가 아닌 여가수였습니다. 그런데, 이 여가수의 드레스 치마 속으로 무려 2백 명이 넘는 사람들이 파고들었습니다. 이 사람들은 여기서 뭐하는 걸까요.

오프라인 - SBS 뉴스

이 빨간 드레스는 일종의 ‘공연장’입니다. 드레스 몸통 부분은 가수의 무대이고, 치맛자락은 관객석입니다. 말 그대로 치마폭에 폭 둘러싸여 공연을 감상하는 것입니다.

이 빨간 드레스 공연장의 진짜 이름은 ‘REDDRESS', 만든 사람은 한국 출신 디자이너 아무송(Aamu Song, 송희원-‘아무’는 우리말 ‘아무나’, '아무개' 할 때 그 ‘아무’라고 합니다)입니다. 아무송은 핀란드에서 디자인 공부를 하고, 현재 핀란드에서 활동 중입니다. 이 드레스는 대학원 졸업 작품으로 만든 건데, 2005년 독일 루이지애나 현대미술관에서 첫 전시를 했고, 지금은 헬싱키디자인박물관이 영구 보관하고 있습니다.

레드 드레스는 높이만 3미터, 치마폭은 20미터, 무게는 1.5톤, 다 펼치려면 400평의 공간이 필요한 대형 작품입니다. 관객은 무려 238명 수용이 가능하니까, 공연장으로 쳐도 웬만한 소극장 규모입니다. 가수가 치마 안에 들어가서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얼굴을 내밀면 무대에 선 것이고요. 관객들은 각자 치맛자락에 자리를 잡고 들어가면 입장 완료입니다.

아무리 좋은 공연장이라고 해도, 관객석 의자는 집에 놓은 소파나 침대만큼 편할 수는 없죠. 가끔씩 앉은키가 큰 사람이 앞에 앉으면 무대가 보이지 않아 고개를 이리저리 돌려야 하기도 하고요. 하지만, 레드드레스 공연장에서는 이런 걱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하고 싶은 대로 마음대로 -앉아 있어도 되고, 누워도 되고, 연인끼리 손을 잡고 있어도 되고- 편안한 마음으로 가수의 노래를 들으면 됩니다. 위에서 연주자를 내려다보는 여느 공연장과 달리 아래에서 위를 쳐다보기 때문에 시선에 방해가 되지도 않고요. 코만 골지 않으면 잠을 자더라도 뭐라고 하는 사람도 없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공연장에 가서 공연을 본다는 것은 명연주를 눈앞에서 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연주자와 한 공간에서 음악을 매개로 느낌을 공유한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일 것입니다. 반면 집에서 명반을 들으면 공연장의 열기나 분위기는 몸으로 느낄 수는 없지만, 그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고 편하게 음악을 들을 수 있다는 게 장점이고요. 이 레드 드레스 공연장은 이 두 가지 장점을 모두 갖고 있는 것입니다. 정말 이 치마 속에 들어가고 싶지 않나요?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하게 됐을까. 정말 사진을 보며 감탄에 감탄만 거듭하며 머리 손질이 다 끝날 때까지 페이지를 넘기지도 않고 이 사진만 한참 동안 들여다봤습니다. 집에 오자마자 아무송 디자이너의 다른 작품을 샅샅이 찾아봤습니다. 하나하나 찾을 때마다 기발함에 웃음과 감탄이 동시에 튀어나왔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Dancing Shoes, Riding Pants, Hood Bag, Safety Skirt

누구나  ‘이 제품은 이랬으면 좋겠는데..’, ‘이건 이게 참 불편하네..’라는 모호한(?) 생각을 자주 합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바꿔야 할지, 그걸 어떻게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을지는 더 이상 생각하지 않죠. 아무송은 그 선을 한참 넘어 섰습니다.

그냥 단순히 기능만 좋아진 게 아니라, 디자인에 유머와 위트까지 덧입혔습니다. 저는 이런 예술가들을 볼 때면 "그 머릿속에 한 번 들어가 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남들하고 뭐가 달라서 이런 생각을 하고 있을까 궁금한 거죠. 아무송 매장이 핀란드 헬싱키에 있다는데, 헬싱키로라도 달려가야 할까요.

* 아무송 인터뷰와 REDDRESS 현지 영상 - 유튜브

http://youtu.be/YrApHtZda7Q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