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밀원수로 '백합나무' 주목…꿀 생산량은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꿀하면 생각나는 아까시나무, 이제는 기후온난화 영향으로 급격히 쇠퇴하고 있습니다. 꿀 생산량도 줄고 있는데요, 이 아까시나무를 대체할 새 밀원수를 찾았습니다.

송인호 기자입니다.

<기자>

아까시나무는 우리나라 전체 꿀 생산량의 60~7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밀원수입니다.

하지만 몇 년 전부터 잎이 누렇게 시들고 해충 피해가 늘면서 급격히 쇠퇴하고 있습니다.

이 아까시나무를 대체할 새 밀원 수종으로 백합나무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미국 동부 지역이 원산지인 백합나무는 아까시나무보다 목재로써의 가치가 클 뿐만 아니라 꿀 생산량도 아까시나무와 비슷합니다.

[유근옥/산림과학원 외래수종 연구실장 : 우리나라 20년생 아까시나무가 2kg이 나온다고 하는데 백합나무는 20년생 1.8kg이 나온다고 해요, 밀원식물로 앞으로 충분히 심을 가치가 있는 나무라 생각합니다.]

특히 진한 갈색인 백합나무 꿀은 향이 매력적이고 말토스와 미네랄 함량이 높아 건강식품으로의 가치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심은 지 7년된 백합나무 조림지입니다.

8년째 부터는 꽃이 피고, 15년째 부터는 본격적인 꿀채취가 가능합니다.

산림청은 오는 2020년까지 전국 6만 ha의 산림에 백합나무를 심어 목재는 물론 꿀을 채취하는 밀원수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