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번 G20정상회의를 통해 주요국간 '환율갈등'은 일단 진정국면에 들어설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구속력이 없기 때문에 아직은 성공 여부를 판단하기 이른 것 같습니다.
김형주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G20 정상들은 서울 선언을 통해 환율 때문에 서로 날을 세웠던 갈등을 일단 봉합했습니다.
우선, 내년 상반기까지 각국의 경상수지가 과도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회원국간 평가를 한다는데 합의했습니다.
또, 고정환율제를 택하고 있는 중국 등을 겨냥해 '환율의 유연성을 제고'한다는 문구도 추가됐습니다.
이로써,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들이 수출 확대를 위해 자국의 통화가치를 인위적으로 끌어내려 촉발됐던 환율전쟁은, 환율을 시장에 맡긴다는 원칙을 확인하는 선에서 일단 숨고르기에 들어갔습니다.
또, 의장국인 한국이 주도한 개발의제가 부속서 형태로 채택된 것도 성괍니다.
한국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동반성장' 원칙을 주요국에 확인시킴으로써, G20뿐만 아니라, G20에서 소외된 170여개 개도국의 이익도 대변하는 영향력을 발휘했습니다.
개도국에 대한 단순 원조가 아닌, '한강의 신화'를 포함한 G20국가들의 개발 노하우를 개도국에게 전수하는 방법론을 확립한 것도 의미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선언에 대한 강제성 있는 이행조치는 빠져, 결국 한국뿐 아니라 다른 G20국가들의 자발적인 실천과 협조가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