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뉴스>
<앵커>
요즘 자원재활용, 재활용 합니다만, 우리 정책은 종종 그 반대로 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얼마든지 다시 쓸 수 있는 목재들이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는 엇박자 환경정책에 불에 타 사라지고 있습니다.
김범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인천의 한 나무 재활용 공장.
폐목재를 쪼갠 조각들을 눌러서 합판을 만들어 냅니다.
그런데 최근 원재료인 폐목재가 씨가 말랐습니다.
외국에서 세 배나 높은 값에 폐목재를 수입하고도 모자라서, 나무 뿌리까지 긁어모아 쓰고 있습니다.
[박승주/나무재활용업체 구매담당 : 퇴비나 비료, 혹은 톱밥 등으로 사용하고 있던 가장 저급한 원재료 형태의 하나입니다. 어쩔 수 없는 고육지책으로 쓰고 있는 형편입니다.]
시작은 정부가 지난 해 화석연료 사용을 줄인다며, 폐목재를 태워 쓰도록 권장하면서 부터입니다.
기름 값보다 나무가 싸기 때문에 발전소나 제지업체들이 앞다퉈 소각시설을 설치했고, 결국 1년에 50만 톤, 나무로 치면 250만 그루 정도 수요가 순식간에 늘어났습니다.
해법은 있습니다.
보통 조림이나 벌목 때 몸통은 가져가고, 이렇게 돈이 되지 않는 가지는 산에 쌓아두고 갑니다.
1년에 이렇게 버려지는 나무가 모두 100만 톤이나 됩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이렇게 버려지는 자원들을 수거해 공급을 늘리는 한편, 재활용 쪽에 더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홍수열/자원순환사회연대 : 무조건 에너지화로 가야한다, 이런 쪽으로 정책이라든지 방향이 획일적으로 지나친 쏠림현상이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나무 판재품으로 물질 재활용하는 것들이 사실 정책적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장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요.]
목재의 90%를 수입에 의존하는 나라에서, 정부의 신중한 정책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그래서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신동환, 영상편집 : 남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