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과목수 줄어든다…국·영·수 교육 강화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오는 2011년부터 초중고교생들의 한 학기에 배우는 과목수가 줄어듭니다. 공부부담을 줄이고 교육과정을 다양화 하자는건데 국영수 입시 위주교육으로 전락할거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홍지영 기자가 소개합니다.

<기자>

교육과정 개편안은 학습부담을 줄이고 획일화된 교육과정을 다양화하자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10개로 된 초,중학교의 국민 공통 기본 과정은 7개로 줄어듭니다.

학기마다 한 두시간씩 수업하는 음악, 미술, 도덕, 실과는 특정 학기에 몰아 이수하도록 했습니다.

[이성희/교과부 학교자율화 추진관 : 수업이 중간에 끊기는 비효율성을 해소하고 토론과 실험 등 깊이 있는 학습과 더불어 다양한 체험 중심으로 수업방법을 혁신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초등 고학년의 한 한기 이수 과목수는 10개에서 7개로, 중고생은 13개에서 8개로 줄어듭니다.

광고 영역

고등학교는 국민공통기본과정을 중3까지 끝내도록 해 3년 모두 선택교육 과정으로 운영됩니다.

이 때문에 선택이 국,영,수에 집중돼 입시위주 교육으로 변질될 거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진영효/미래형교육과정 저지 공동대책위원 : 선택과목 중에서도 한국문화사가 없어지므로써 인해서 고등학교 전과정을 걸쳐서 한국사에 대해서 전혀 배우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리라 예상됩니다. ]

개정된 교육과정은 2011년 초등학교 1,2학년을 시작으로 2013년까지 단계적으로 적용됩니다.

그러나 교육과정개편 저지 공동위원회는 개편안이 전인교육 정신에 위배된다며 헌법소원을 준비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