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명품 가격 싸질까? 업종별 '명암' 엇갈려


동영상 표시하기

<8뉴스>

<앵커>

유럽산 고급 자동차나 명품 의류, 화장품 값도 상당히 내려갈 것으로 보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야 나쁠게 없지만 국내 업체들은 더 치열하게 경쟁해야 합니다.

보도에 정호선 기자입니다.

<기자>

화장품이나 가방, 신발 등 이른바 수입명품에는 8~13%의 관세가 부과됩니다.

이 관세가 3~5년안에 모두 철폐되면 그만큼 가격 인하 요인이 생깁니다.

여기에 업체간 가격 경쟁이 확대되면 가격은 추가로 하락할 수 있습니다.

[송원근/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국내산 화장품들과의 가격차이가 상당부분 줄어들기 때문에 국내업체들은 특단의 전략이 필요하지 않겠느냐 이렇게 생각듭니다.]

유통업계는 이에따라 이른바 수입명품의 가격이 5%에서 9%까지 내리면서 국내 업체와의 경쟁이 더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국내 수입차시장에서 이미 65%를 넘는 점유율을 차지하는 유럽산 자동차들는 FTA 체결을 계기로 추가로 가격경쟁력까지 확보하게 됐습니다.

관세철폐만큼의 가격인하를 가정하면 4,650만 원 정도에 팔리는 벤츠 C클래스의 경우 4, 270만 원 정도로 하락합니다.

[윤대성/수입자동차협회 전무 : 유럽기술표준 채택으로 인해서 유럽산 자동차의 가격경쟁력이 강화되고, 다양한 모델이 선보임으로 인해서 소비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한-EU FTA의 체결은 관세인하와 경쟁촉진으로 가격인하를 기대할 수 있지만, 업종별 경쟁력에 따라 국내산업의 피해도 우려됩니다.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확보한 자동차와 IT, 전자, 섬유 부문은 수혜업종으로 꼽히지만, 전통적으로 EU가 강한 의약, 의료기기, 정밀화학, 기계 부품 부문은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