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동] 허물어져가는 아파트 '서울시 나몰라라'


동영상 표시하기

<8뉴스>

<앵커>

지은지 30년이 넘어서 언제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는 허술한 아파트에 200세대가 넘는 주민들이 살고 있습니다. 사업성에만 목을 매는 재건축 사업과 당국의 무관심이 주민들을 위험 속에 방치하고있습니다.

기동취재 우상욱 기자입니다.

<기자>

지어진 지 35년 된 아파트입니다.

철근 콘크리트보다 훨씬 약한 시멘트 블럭으로 지어져 곳곳에 금이 가고 구멍이 뚫렸습니다.

건물을 지탱하는 내력벽도 갈라졌습니다.

인도쪽에 보호대를 씌워야할 정도로 건물 조각도 수시로 떨어집니다.

아파트 내부는 더 심각합니다.

뚫린 벽 사이로 밖이 내다보이고 가느다란 철근은 드러난 채 부식됐습니다.

붕괴 우려로 이미 13년전인 지난 96년 재난위험시설로 지정됐지만 전체 8백70여 세대 가운데 2백30여 세대가 여전히 살고 있습니다.

[정귀남/아파트 주민 : 이게 어떻게 돼야 돈을 갖고 떠나지. 돈이 하나도 없으니까….]

재건축이 해결 방안이지만 민간업자들은 14~5평의 초소형 세대 건물이라 사업성이 없다며 외면하고 있습니다.

가까스로 3년전 시공사를 선정했지만 최근 금융위기로 자금을 조달하지 못해 사업추진이 어려워졌습니다.

[최정룡/재건축조합장 : 80cm 아래로 도시가스관이 지나가고 있는데 (길을) 몇번 수리했는데도 내려앉고 있어요. 가스관 터지면 아파트 다 날아갈 지경이에요.]

안전을 생각하면 당장 임대아파트로라도 옮겨야하지만 서울시는 규정에 없다며 손을 놓고 있습니다.

[류훈/서울시 주택공급과장 : 재건축은 근본적으로 순수 민간사업이예요. 재건축 사업에까지 재개발과 비슷한 것을 적용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전문가들은 재건축 사업과는 별도로 주거의 안전 보장과 생활환경 개선은 당국이 책임져야한다고 지적합니다.

[변창흠/세종대 행정학과 교수 : 노후도나 안전진단, 주민들의 주거 상태 등을 고려해서 최우선적으로 주택자금이나 또는 재정비촉진기금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사업성에만 목을 매는 재건축 시장과 이를 방치하는 정부의 무관심 속에 수백명의 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