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유 첨가물 안전한가?


동영상 표시하기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소비자 리포트 전체보기
소비자 리포트 전체보기
3살배기 상륜이는 매일 간식으로 두유를 마십니다. 우유나 유제품을 먹으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상륜이 엄마는 두유 포장 겉면에 적힌 성분표시가 마음에 걸립니다.

[안정은 주부 : 두유에는 보면 너무 어려운 말들만 있어서 전혀 소비자로서는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

현재 시중에 팔리고 있는 두유 제품은 80여 가지, 웰빙 바람을 타고 국내 두유 시장은 지난해 2천8백억 원 규모로 성장했습니다.

[이재열/소비자 : (두유 왜 드세요?) 맛이 좋고 영양가가 좋으니까.]

두유는 콩으로만 만든다, 이런 생각을 흔히 하기 때문에 보통 두유를 살 때는 성분표시까지 살피는 경우가 많지 않은데 이렇게 뒤로 돌려보면 유화제나 보존료인 카라기난 같은 많은 첨가물이 들어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광고 영역

이런 첨가물이 왜 필요할까? 일반적인 제조 방식으로 두유를 직접 만들어봤습니다.

  ① 일단 물에 담가서 불린 콩을 삶아 믹서기로 간 뒤 면포에 걸러 내면 순수한 콩즙이 나옵니다.

  ② 여기에 제 뒤로 보이는 많은 첨가물들을 섞어야 실제로 우리가 사서 마시는 두유에 가까워집니다.

  ③ 고소한 맛을 내기위해 콩기름을 넣고, 물과 기름층이 분리되는 것을 막는 유화제가 들어갑니다.

  ④ 단맛을 내는 설탕과 분말이 가라앉는 것을 막는 카라기난, 또 산도를 조절하기위한 첨가물도 추가됩니다

  ⑤ 마지막으로 두유향이나 땅콩향이 나도록 향료가 들어갑니다.

업체들은 두유 본래의 느끼함을 없애고 최소한의 맛을 느끼게 하려면 첨가물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두유 제조업체 : 식품첨가물 원료에 대한 안전성을 테스트해서 식품에 넣어 인간이 먹어도 안전하다는 그런 경우에 식품첨가물 공전에 등재돼서 인정을 합니다.]

하지만 첨가물이 소량일 지라도 많이 먹거나, 다른 음식과 함께 섭취할 경우에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 이른바 '칵테일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임종환 교수/인하대 산업의학과 : 카라기난을 통해 신체 내에서 노출됨에 따라서 염증이 촉발되고 합성착향료가 결코 안전하지 않다고 볼 수 있고요. 몸에서 여러가지 형태의 알러지 반응이나 기관지염, 천식을 유발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광고 영역

실제 지난 2006년 건강음료 속의 비타민C와 안식향산나트륨이 섞이면 발암물질인 벤젠을 만들어낸다는 게 밝혀지면서 해당 제품이 수거되기도 했습니다.

첨가물의 유해성과 합성 제조에 대한 기준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소비자들은 이에 따라 두유에 들어가는 첨가물이 몸에 해롭지 않을까 걱정스럽기만 합니다.

[김윤순/소비자 : 그게 들어 있다면? 아무래도 꺼림칙하죠. 가족들이 먹는 거니까.]

특히 성인보다 예민한 어린이들의 경우 평소 이런 첨가물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면밀히 관찰해 가급적 가려 먹는 것이 좋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