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정국 속 '금융위기 누구 책임?' 공방


동영상 표시하기

<8뉴스>

<앵커>

미국에서는 이제 금융위기의 책임에 대한 여론의 추궁이 시작됐습니다. 대선정국과 맞물려 책임공방이 더 가열되는 가운데 한때 미국경제의 신으로 불리던 그린스펀 전 의장도 도마에 올랐습니다.

정승민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 금융위기의 책임이 기본적으로 경제정책에 실패한 부시 행정부에 있다는 데에는 여야를 막론하고 의견이 일치합니다.

부시 정부는 규제철폐만을 일방적으로 외치면서 고위험 고수익을 탐욕스럽게 추구했던 월가의 도덕적 해이를 제대로 감독하지 못했습니다.

여당인 공화당조차 금융시장을 '도박판'으로 만든 데 대해 증권거래위원장 등 고위 인사의 문책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매케인/공화당 대선후보 : 제가 지금 대통령이라면, 콕스 증권거래위원장을 해임했을 것입니다.]

민주당은 부시 행정부의 경제철학 전반을 문제삼으며 정권차원에서 책임질 사안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오바마/민주당 대선후보 : 한 사람만 해임할 것이 아니라, 부시 행정부 전체와 이 정부의 경제철학을 모두 갈아치워야 합니다.]

비난의 화살은 특히 미 정부의 저금리 정책에 쏟아지고 있습니다.

지난 2000년 이후 쇠퇴일로를 걷는 미국경제를 지탱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저금리 정책을 펼쳐왔지만 결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만 불러왔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그린스펀 전 FRB의장을 비롯한 저금리 옹호론자들에게 따가운 시선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미 의회 또한 여러차례 제기되온 사전경고를 도외시 한 채 수수방관했다는 비난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실물경제의 성장없이 금융시장의 팽창만으로 자산가치가 상승하며 거품 호황을 구가했던 미국에 대한 신뢰가 이제 무너지기 시작했습니다.

[샘 스토발/S&P 투자전문가 : 통화위기가 문제가 아니라, 미국에 대한 신뢰붕괴가 가장 큰 문제입니다.]

저금리의 과실을 향유하며 너나 할 것 없이 과소비에 나섰던 미국민들 모두가 이번 금융위기의 피해자인 동시에 가해자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