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진행되고 있는 금융공기업 기관장 재신임 과정에서 예금보험공사·캠코(자산관리공사)·증권예탁결제원·기업은행 등 8개 주요 금융기관과 우리금융지주 계열사 등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최고경영자 뿐 아니라 감사들에 대한 재신임 과정도 진행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신임 기준으로는 경영성과·전문성·재임기간 등이 종합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 재신임 대상은 = 전광우 금융위원장은 23일 기자간담회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금융공기업 기관장의 재신임 범위를 묻는 질문에 "금융위원장이 제청해 대통령이 임면하는 직접 산하기관 8곳과 우리금융 및 우리은행 등 계열사"라고 답변했다.
이런 기준이 적용되는 직접 산하기관은 기술신용보증기금·신용보증기금·예금보험공사·캠코·주택금융공사·증권예탁결제원 등 6개 준정부기관과 산업은행·기업은행 등 2개 기타공공기관이다.
기보와 신보는 기관장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고 현재 공석인 주택금융공사는 이미 공모절차가 진행중이다.
산업은행은 민영화 계획에 따라 올해 안에 지주사로 재편되기 때문에 교체 가능성이 크다.
결국 예금보험공사·기업은행·캠코·증권예탁결제원의 기관장 교체 여부가 관건이 된다.
또 예금보험공사가 대주주인 우리금융지주 계열사에 대한 교체 작업을 진행할지 여부도 관심사다.
전 위원장은 또 이들 기관장 뿐 아니라 감사에 대한 재신임 과정도 진행중임을 확인했다.
기관장에 대한 재신임 여부가 결정되면 여타 임원들에 대한 물갈이 작업도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 재신임 기준은 = 전 위원장은 "경영능력과 재임기간·전문성·새 정부의 국정 철학과 공감 여부 등이 재신임 기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 위원장은 "민간 인사들이 최고경영자로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지만 역량 있는 관료마저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 '이전 정부와 거리'도 재신임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잣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즉 전문성이나 능력보다 전 정부와의 인연 때문에 임명된 인사들의 교체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금융가는 전 위원장이 재임기간을 언급한 것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즉 임기를 시작한 지 6개월 정도 밖에 되지 않은 기업은행·캠코·예금보험공사와 1년된 증권예탁결제원을 다르게 고려될 수 있음을 시사한 발언이 되기 때문이다.
◇ 추후 절차는 = 전 위원장은 그러나 "추후 진행 절차에 대해 딱 부러지게 날짜를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전 위원장은 "일례로 직접 산하기관 8곳과 우리금융지주 및 계열사는 절차에 차이가 있어 소요시간도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발언은 기관장 재신임 여부는 동시에 결정되더라도 해임 절차 등은 직접 산하기관이 먼저, 우리금융지주 및 계열사가 이후가 된다는 의미다.
전 위원장은 "이런 식의 불확실성이 개인적으로나 조직으로나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재신임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후임 선임 절차를 최대한 빨리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 고위관계자는 "후임 선출과정에서 민간 출신 인사를 우선 등용하겠지만 관료 출신도 무조건 배제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