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납치 누가 지시했나…"박정희 최소한 묵인"


동영상 표시하기

<8뉴스>

<앵커>

다음 뉴스입니다. 지난 73년 일본에서 일어났던 김대중 납치사건과 관련해서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납치를 직접 지시했거나 적어도 묵인했을 거라고 과거사 위원회가 결론 내렸습니다.

보도에 최호원 기자입니다.

<기자>

광고 영역

지난 1973년 김대중 납치사건의 최종 지시자는 과연 누구였을까?

국가정보원 과거사 진실규명위원회는 3년 간의 조사 결과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지시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최소한 묵시적 승인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습니다.

[안병욱/국정원 과거사 진실위원장 : 이후락 부장이 "나는 하고 싶어서 하는줄 알어"라고 역정을 낸 적이 있습니다. 일본의 김기완 공사가 처음에는 반대를 하다가 박 대통령의 결재를 확인한 다음에 공작에 적극 가담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과거사위는 박 대통령의 직접적인 지시 여부를 밝혀줄 문서나 증거는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또 납치 목적이 '살해'하기 위해서였는지 '단순 납치'였는지도 명확하게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적어도 실행단계에서는 '단순 납치'쪽으로 정리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습니다.

김대중 전 대통령 측은 과거사위의 결론이 우유부단하다며 유감을 나타냈습니다.

[한승헌 변호사/김대중 전 대통령 측 : 박 대통령의 사전 지시 및 살해의 목적 등을 인정할만한 사실이 밝혀졌습니다.그럼에도 확인된 사실에 대한 평가에서 위원회가 우유부단한 입장을 보인 것은 유감스럽다.]

오늘(24일) 유명환 주일 한국 대사를 통해 과거사위의 조사결과를 전달받은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의 사과와 재발 방지를 요구했습니다.

[마치무라/일본 관방장관 : 한국이 일본 국내에 공권력을 동원했다는 것은 유감입니다.]

청와대는 일본의 이런 요구에 대해 일단 신중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천호선/청와대 대변인 : 청와대가 입장을 밝힐 만한 문제 있다면 그런 부분에 대해 그때 입장을 밝히도록 하겠습니다.]

광고 영역

과거사위는 이 밖에 지난 87년 KAL858기 폭파사건의 경우 그동안 안기부의 기획 조작과 사전 인지 등의 의혹이 있었지만 그런 단서가 전혀 없어 사실이 아닌 것으로 최종 판단했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