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관절염에 좋은 운동은 따로 있다


동영상 표시하기

우리나라 사람 7명 중 한 명은 관절염 환자!

운동을 통해 관절염을 치료하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잘못된 운동은 무릎 관절에 무리를 줘 오히려 관절염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김옥순/부천시 중동 : 처음에는 무조건 했어요. 산을 3개월 정도 막 다녔어요. 전부터 무릎이 안 좋았는데 더 나빠졌다고 하더라고요, 제일 나쁜 운동을 했다고 하더라고요.]

체중 1kg이 늘어날 때마다 무릎 관절이 받는 하중은 그 3배에 이르는 3kg.

특히 비만한 사람이 등산이나 계단 오르기 같은 운동을 하는 것은 무릎 관절에 치명적입니다.

광고 영역

따라서 무릎이 약한 사람은 관절을 움직이지 않고 주위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문재호/영동세브란스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 관절을 좀 덜 쓰고 쓰더라도 관절에 무리가 되지 않는 관절보호동작을 익히고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요법을 생활화하게 되면 관절염 예방도 되고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관절이 약한 사람들은 관절을 움직이지 않은 근육운동을 2~3주 한 후에 수영이나 자전거 타기, 걷기, 등산과 같이 운동강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다음 단계로 운동 강도를 높여도 괜찮을까?

판단하는 기준은 통증입니다.

[진영수/서울아산병원 스포츠건강의학센터 교수 : 일반적으로 운동을 하고 나서 통증이 있는데 그 통증이 2시간 내에 사라진다면 크게 문제가 안 되는데 운동을 하고 나서 통증이 2시간 이상 가는 경우에는 무리했다고 판단됩니다.]

무릎 관절 이외에도 손목이나 손가락 관절에 통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될 수 있으면 작은 관절보다는 큰 관절을 사용하고 관절을 쓸 때 근육에 힘을 주면서 사용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관절염 예방에 좋은 방법입니다.

평소 쉽게 할 수 있는 관절 근육강화 운동인데요.

의자에 바르게 앉아 한 다리씩 번갈아 들어줍니다.

이때 발목을 몸 쪽으로 향하게 해서 다리근육에 힘이 가게 합니다.

작은 모래 주머니를 달고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몸을 벽에 기댄 자세로 다리 근육을 긴장시키는 운동인데요.

광고 영역

이때 무릎이 앞 발가락보다 앞으로 나가면 안되고 앉았을 때 무릎이 평행이 되게 합니다.

자전거 타기 역시 무릎 관절에 좋은 운동인데요.

이때 안장의 높이가 중요합니다.

안장의 높이는 페달을 밟았을 때 무릎의 각도가 90도 정도 되는 것이 적당하고 페달을 반동의 힘이 아닌 다리 근육의 힘으로 균일하게 돌릴 수 있어야 운동효과가 있습니다.

(안미정 리포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