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쌀 개방' 공세…의약품 제도 수정도 요구


동영상 표시하기

<8뉴스>

<앵커>

첫날부터 미국측의 요구사항도 구체적으로 드러났습니다. 쌀 시장 추가 개방과 함께, 우리 의약품 제도도 수정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한승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쌀은 한·미 FTA 협상 대상이 아니다'

협상에 임하는 우리 대표단의 이런 기본 전략에 미국측은 정면으로 받아쳤습니다.

웬디 커틀러 미국측 협상대표는 오늘(10일) 기자회견을 자청해 쌀에 대해 추가로 시장 개방을 요구할 것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웬디 커틀러/미국 협상단 수석대표 : 이번 협상에서 미국산 쌀의 한국수출을 늘리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이것은 비밀이 아닙니다.]

또 효능이 좋은 의약품을 골라 건강 보험 혜택을 받도록 하겠다는 우리 의약품 정책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웬디 커틀러/미국 협상단 수석대표 : (미국의) 혁신적 신약을 차별하게 되면 한국의 환자들과 의사들은 신약의 혜택을 받지 못할 것입니다.]

우리의 의료 정책에 대해선 이미 잘 알고 있다고 강조해 정책을 이해시키면 될 것이라는 우리측 협상 전략은 힘을 받기 어려울 전망입니다.

김종훈 수석대표는 이에 대해 쌀과 의약품 등은 우리도 양보할 수 없는 분야임을 강조했습니다.

[김종훈/한국협상단 수석대표 : 우리는 또 우리 입장이 있습니다. 협상을 해봐야 됩니다.]

미국측은 또 한국의 의무교육시장에는 관심이 없지만 인터넷 교육과 미국수학능력시험인 SAT 등 테스트 분야에 대한 시장접근엔 관심을 두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 문제에 대해서도 미측은 1차 협상 때와 마찬가지로, 한·미 FTA의 협상 대상 자체가 아니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