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난 속에도 직장 고른다

취업 위주 교육기관들, 높은 취업률 자랑


동영상 표시하기

사회생활 한 달을 갓 넘긴 새내기 직장인 박용석 씨!

박 씨는 자동차 생산설비를 만드는 안산의 한 중견기업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쉽지 않은 업무지만 실무에 투입될 정도로 현업적응이 빠릅니다.

[박용석/대상이엔지 연구원 : 반도체 설계를 담당하고 있고요. 제가 하고 싶었던 일이기 때문에 굉장히 행복한 회사 생활이 되고 있습니다.]

고졸인 박 씨는 전문대학 졸업자와 동일한 대우를 받고 있습니다.

그가 이런 대우를 받게 된 것은 무엇보다 실력!

광고 영역

금형과 컴퓨터 응용가공 산업기사 등 국가공인자격증만 모두 10개나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에는 4년제 공과대학 졸업자도 취득하기 어려운 기계설계기사 1급자격증도 따냈습니다.

연구원 20명인 이 회사 연구소에는 박 씨처럼 대학을 나오지 않은 연구원이 9명이나 되는데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인력개발원 출신이라는 것.

기업이 인력개발원 출신자들을 선호하는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정상용/대상이엔지 연구소장 : 저도 대학출신이지만 대학에서는 기계를 만지면서 하기보다는 이론 학습이 위주가 돼 실전이 많이 부족합니다. 인력개발원 출신들은 실기와 이론을 병행해서 실전에 강하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

산업현장을 그대로 옮겨 놓은 교실에서 박용석 연구원의 후배들이 시스템제어 수업을 받고 있습니다.

창고 속 물건이 로봇에 의해 인출되고 가공 처리된 뒤 다른 창고에 수납되기까지의 전 과정이 모두 자동입니다.

학생들이 직접 짠 프로그램과 숙련된 운용기술로 이뤄지는 것입니다.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전자동 물류시스템의 하드웨어 모형도 학생들이 직접 만듭니다.

[김낙필/인천인력개발원 학생 : 저런 것 많이 만들다 보니까 제가 소질이 있어서 인지 몰라도 자동화라는 게 상당히 재미있고...]

전체 교육과정에서 이런 실기수업의 비중은 70%.

배운 지식을 산업현장에서 바로 적용하기 위해서 입니다.

[이을순/인천인력개발원 교무팀장 : 실기위주로 실습을 하니까 실습하는데 재미도 느끼고 현장 장비를 구입해서 교육하고 작품을 제작하니까 현장에 적용하기도 훨씬 편리..]

실기위주교육이라고 이론을 대충하고 넘기는 것은 물론 아닙니다.

광고 영역

전체 2년 교육과정의 수업시간은 모두 2800시간.

매일 7시간씩의 강도높은 수업을 받아야 합니다.

하드트레이닝을 거치며 실력을 쌓은 이곳 학생들의 인기는 수료하기 전부터 나타납니다.

[김대정/인천인력개발원장 : 매년 졸업시즌이 되면 수료생의 2~3배 정도의 구인요청이 옵니다. 그래서 그런 업체들을 선별해서 취업을 시키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학생들의 자부심도 대단합니다.

[강태현/인천인력개발원 학생 : 여기서 졸업하게 되면 취업의 길이 열려있기 때문에 든든합니다.]

[ 서지인/인천인력개발원 학생 : 일반대학교보다 취업률도 많이 높고요. 필기보다 실기위주라서 취업 나가면 업무향상에도 도움 될것 같아요.]

지난해 고졸자의 취업률은 52%로 15년 만에 최악이었습니다.

전문대는 83%, 4년제 대졸자의 경우는 63%에 불과해 청년실업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됐습니다.

이에 반해 인력개발원 수료생의 취업률은 2년째 100%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때문에 인력개발원의 인기는 날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박소진/인천인력개발원 학생 : 모든 교육이 취업에 맞춰서 짜여져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높은 취업률과 함께 학생들로부터 인기를 끄는 또다른 이유는 파격적인 조건!

[김대정/인천인력개발원장 : 2년 동안 훈련비 전액이 무료, 기숙사와 식사도 무료로 제공하고 학생들에게 매월 20~25만원의 훈련수당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2, 3대 1의 높은 입학경쟁률로 그 인기를 반증하는 인력개발원.

합격의 가장 중요한 기준은 대학처럼 성적순이 아닙니다.

[가장 먼저 보는게 인성과 직업관입니다. 그래서 저희들이 선발하는 기준은 성적과는 무관하게 사람됨을 보고 선발하고 있습니다.]

인력개발원 이외에도 산업인력관리공단이 운영하는 1년제 직업전문학교와 2년제 기능대학도 역시 실무위주의 산업역군들을 양성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현장적응력이 뛰어난 교육기관들이 전직희망자나 재취업자들을 위한 교육도 병행한다면 한국의 고용시장 유연성은 한층 더 부드러워질 것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