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뉴스>
<앵커>
미국이 주한미군을 빼가겠다고 마음을 먹은 이상, 협상에 들어가도 큰 틀을 바꾸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용산기지 이전에 드는 비용을 한·미 두나라가 어떻게 나눠맡느냐에 대한 논란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어서 이성철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는 주한미군 감축을 9.11 테러 이후 국제테러 문제의 부각과 이에따른 미국의 방위전략 재검토 등 국제 정세의 변화에 따른 불가피한 과정으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협상이 시작되더라도 미국이 제시한 주한미군 만 2천명 감축안을 크게 바꾸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사전협의제 확보 등 정부의 협상전략도 추후 변동 가능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캠벨 미 8군 사령관의 발언으로 촉발된 한미연합군의 평화유지활동이나 해외원정 가능성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선을 그어 논란을 차단할 방침입니다.
주한미군 감축 협상은 그러나, 현재 진행중인 용산기지 이전 협상에는 큰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유영재/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 용산미군기지 이전은 미군 감축 계획을 반영해서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320만평 규모의 오산·평택 이전부지 규모 조정과 최소 30억 달러에 이르는 이전 비용 부담도 또다시 수면위로 떠오를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주한미군에 의존해 안보가 증진된 반면 자주성이 훼손된 딜레마를 능동적으로 극복할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정부는 주한미군 감축협상단을 별도로 구성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