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편입 관리 엉망


동영상 표시하기

<8뉴스>

<앵커>

이런 대규모 부정 편입학사건이 벌어진데엔, 무전기까지 들여보내는 허술한 시험장 관리도한몫 거들었습니다.

허점 투성이 대학 편입학 체계, 홍순준 기자가 들여다봤습니다.

<기자>

편입학 지원자는 점점 늘어나지만 정작 시험과목은 영어뿐인 대학이 대부분입니다.

[구정모/편입 준비생 : 영어에 비중을 둔 학교가 많기 때문에, 영어만 공부하고 있습니다.]

문항도 모두 객관식이어서 영어 잘하는 사람 1명만 짜면 부정을 저지르기가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대부분 면접이 없다보니 간혹 면접을 치르는 대학은 부정시험 대상에서 벗어났습니다.

[주모씨/피의자 : (의뢰인에게) 면접을 심하게 보는데는 안된다고 했습니다. 영어를 주로 보는 학교를 우선으로 시험봤습니다.]

시험장의 관리 감독도 허술했습니다.

무려 30여대의 무전기가 동원됐지만 한번도 적발되지 않았습니다.

[주 모씨/피의자 : 감독관이 너무 허술해서 제가 무전기를 가지고 가서 시험을 봐도 되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감독은 대개 경험이 없는 조교 한 두명이 맡았습니다.

[모 대학 입학처장 : 발전되는 기술에 따라 범죄에 사용한다면 대학에선 그걸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 대학이 정부 수사기관도 아니고.]

수학능력시험은 정부 차원에서 엄정하게 관리됩니다.

하지만 같은 대학 입학시험인 편입의 경우, 대학 자율에 맡기다보니 관리가 허술해지기 쉽습니다.

편입학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드러난 관리체계의 구멍, 제도적 보완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