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동학농민혁명 130주년…갈 길 먼 명예회복

<앵커>

올해는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난 지 꼭 13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여전히 동학의 의미와 가치를 축소하거나 왜곡하려는 경향이 적지 않게 남아 있습니다. 무엇보다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섰던 참가자들의 명예회복도 갈 길이 멀어보입니다.

최유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전국의 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한국사 교과서는 모두 아홉 가지.

1894년 동학 농민군의 2차 봉기를 항일 무장투쟁으로 설명합니다.

하지만, 이 투쟁을 일컫는 역사 교과서의 용어는 '동학농민운동'.

2004년 '동학농민혁명'으로 명명하고 2019년에는 국가기념일까지 지정했지만 현실은 여전히 동떨어져 있습니다.

[안채윤·선은민/고교 2년 : (동학농민혁명은) 들어본 적은 없었던 것 같아요. 그렇게 가르쳐주지도 않았고, 선생님들도 시험을 내려고 하면 교과서 위주로 내니까.]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들의 독립유공자 서훈 문제도 터덕거리고 있습니다.

지난해 9월 농민군을 독립유공자로 인정하는 내용의 특별법 개정안이 국회 문체위 법안소위를 통과했지만, 상임위 문턱을 넘지 못하면서 법안이 폐기될 위기에 놓였습니다.

국가보훈부가 내규로 정한 독립운동의 시작은 명성황후 시해에 항거한 1895년 을미의병.

바로 한 해 전인 1894년 봉기해 일제와 맞서 싸운 동학농민군은 그 공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겁니다.

[신순철/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 : (을미의병은) 독립유공자로 지금 지정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그보다 3개월 전까지 항일 투쟁을 가장 큰 규모로 벌였던 동학농민군은 국가 서훈을 받지 못하고 있는….]

지금까지 2차 봉기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동학농민군은 3천여 명.

동학이 100년 넘게 걸머져온 반란과 역적의 멍에를 벗고 항일과 자유, 평등사상에 미친 가치를 조금씩 인정받고 있지만, 독립유공자 서훈을 비롯한 진정한 의미의 명예회복과 재평가까지는 아직 가야 할 길이 멀어 보입니다.

(영상취재 : 정희도 JTV)

JTV 최유선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