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국 상징물 담은 '예술형 주화'로 20조 세계시장 공략해야"

"한국 상징물 담은 '예술형 주화'로 20조 세계시장 공략해야"
▲ 세계 각국의 예술형 주화 사례

문화·예술적 가치를 담은 국가 상징물을 주제로 하는 '예술형 주화'를 발행해 국가 브랜드를 높이고 경제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오늘(1일) '예술형 주화 산업' 육성 제안을 통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예술형 주화란 나라를 대표하는 상징물을 담아 금이나 은 등 귀금속 소재로 제작하며, 중앙은행이 가치를 보증하는 법정화폐입니다.

귀금속 시세에 따라 판매가격이 달라지며, 한 주제로 장기간 발행된다는 점에서 액면가에 일회성으로 발행되는 기념주화와 구분됩니다.

미국, 중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 세계 9개국이 예술형 주화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독수리, 중국은 판다, 호주는 캥거루를 예술형 주화 디자인에 활용해 국가 문화 홍보에 활용합니다.

이 가운데 미국과 중국 등 6대 글로벌 예술형 주화 시장의 규모는 지난 2019년 7조 5천억 원에서 2022년 19조 9천억 원으로 3년 새 3배 가까이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계 각국의 예술형 주화 발행 상황 (사진=한경협 제공, 연합뉴스)

이들 국가의 주화 매출 가운데 대부분은 예술형 주화에서 나옵니다.

2022년 기준 예술형 주화의 매출 비중은 캐나다 91.6%, 영국 88.1%, 미국 70.3% 등에 달했습니다.

반면 한국은 일반 동전인 유통주화의 비중이 87.3%였습니다.

한경협은 "서양 중심의 주화 시장에 한국이 참여하면 희소성이 높아 신규 수요를 끌어낼 수 있고 한국의 대표 이미지를 국제적으로 홍보할 수 있다"며 "일본, 아세안이 아직 시장에 뛰어들지 않은 지금이 기회"라고 밝혔습니다.

한경협은 예술형 주화 발행을 통해 전후방 산업 활성화와 재정수입 확대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원자재 조달 단계에서는 귀금속 정·제련 산업과 재료가격 위험 분산을 위한 금융상품 등이 발달합니다.

주화 제조 단계에서는 금형 제작과 제조용 기계 장비 등의 성장이 동반되며, 유통·판매 단계에서는 새 유통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습니다.

예술형 주화 판매 수익은 국가 재정에 직접적으로도 보탬이 된다고 한경협은 덧붙였습니다.

캐나다는 연간 850억 원의 왕립조폐국 수익을 재무부 재원으로 활용하고 있고, 오스트리아는 조폐국이 벌어들인 연간 1천300억 원의 수익을 중앙은행에 귀속시킵니다.

나아가 예술형 주화를 통해 국민의 금 보유량을 늘려 국가 차원의 외환 위험 대응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 국민의 안전자산 투자와 수집 선택권을 높이는 효과도 있습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디지털 경제의 발전으로 유통주화는 사라지고 있지만, 예술형 주화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국가브랜드와 문화적 강점을 살려 예술형 주화 발행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한경협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