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부, 100조 원 '해상풍력발전' 추진 계획

정부, 100조 원 '해상풍력발전' 추진 계획
우리나라에서도 대형 해상풍력 발전단지 건설 사업이 속속 추진되면서 2030년까지 최대 1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됩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부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바탕으로 2030년까지 설비용량 14.3기가와트(GW)의 해상풍력 발전 시설을 국내에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상업 운전 해상풍력발전단지는 제주 탐라(30㎿), 서남권(60㎿), 영광(34.5㎿) 3곳으로 개별 단지 규모가 작아 세 곳을 모두 합친 누적 설비용량은 124.5㎿(0.1245GW) 입니다.

아직 국내 기반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14GW 이상의 해상풍력 보급을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1GW는 일반적인 원전 한 기 설비 용량 수준으로 해안선에서 멀게는 수십㎞ 떨어진 바다에 1G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 단지를 건설하려면 5㎿ 터빈이 달린 풍력 발전기 200개를 바다에 설치해야 합니다.

1GW당 건설비를 7조 원으로 잡으면 2030년까지 14.3GW의 해상풍력을 국내에 보급하는 데 민간을 중심으로 최대 약 100조 원의 투자가 필요합니다.

현재 발전 사업을 하겠다고 허가를 받은 곳은 83개 단지로 설비용량만 27GW에 달합니다.

덴마크 기업 오스테드는 작년 11월 인천에서 70㎞ 떨어진 서해에서 1.6GW 규모의 국내 최대 규모 해상풍력 발전 사업권을 얻었습니다.

오스테드는 공유수면 점유·사용 허가, 환경영향평가 등 남은 인허가 절차를 거쳐 8조 원을 들여 이르면 2030년까지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건설할 계획입니다.

정부가 해상풍력 보급에 드라이브를 걸고 나선 데에는 탄소중립 전환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보급 비율을 꾸준히 높여가야 하는 가운데 '태양광 편중' 현상을 완화하고 균형 있는 에너지 믹스(구성비)를 구성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이 깔려 있습니다.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현재 10%에 채 못 미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30년 21.6%, 2036년 30.6%까지 단계적으로 높여나가야 합니다.

2030년까지 확충하기로 한 전체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약 40GW다.

이때까지 확충될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약 3분의 1을 해상풍력으로 채워나간다는 것이 정부의 계획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