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국의 수조 원 규모 삼성전자 반도체 보조금…정부 당국자 "기대에 상당히 부응"

미국의 수조 원 규모 삼성전자 반도체 보조금…정부 당국자 "기대에 상당히 부응"
▲ 삼성전자 텍사스주 반도체 공장

정부 고위 당국자는 15일(현지시간) 삼성전자가 미국의 반도체법에 따라 60억 달러, 우리 돈 7조 9천억 원 이상의 보조금을 받을 것으로 알려진 것과 관련, "상당히 기대에 부응하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미국을 방문 중인 이 고위 당국자는 이날 워싱턴DC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기업들이 제출한 보조금 신청서에 항목별 기준이 있으며 이를 충족하느냐 여부를 미국이 판단해서 금액을 정했을 것으로 보인다"라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는 삼성전자가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보조금이 다른 기업에 비해 차별받지 않았다고 볼 근거가 있느냐는 질문에 "투자 총액 외에 여러 가지 (판단) 기준이 있을 것"이라면서 "우리는 한국 기업이 그 기준대로 제대로 평가받고 다른 나라 기업에 비해 그 기준상 불이익이 없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해왔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대만의 반도체 업체 TSMC를 거명하며 "(TSMC의 보조금은) 보도상으로는 60억 달러로 돼 있고 이것이 많다, 적다고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라면서도 "알려지기로는 TSMC의 투자액이 (삼성전자보다) 더 많은데 보도상 TSMC보다 (삼성전자 보조금이) 많다 정도는 비교할 수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삼성전자의 경우 170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발표했으며 미국 정부는 60억 달러 이상의 보조금 지급을 통해 추가 사업 확장도 지원할 예정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은 전날 보도했습니다.

미국에 400억 달러를 투자하는 TSMC는 50억 달러 이상을 보조금으로 받을 것으로 이 매체는 전망했습니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미국이 주도하는 대(對)중국 반도체 장비 수출통제 참여 여부에 대한 한미간 협의를 묻는 말에는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도 바세나르 체제 등에 의해 정기적으로, 혹은 계기가 있을 때마다 (미국과) 미팅을 할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국제 (다자) 체제 내에서 협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그것이 지금까지 이뤄진 것의 대부분"이라면서 "(대중국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 자체에 대해서 우리가 언급할 사항은 현재로서는 없다"라고 말했습니다.

바세나르 체제는 재래식 무기와 전략물자, 기술수출을 통제하기 위해 1996년 출범한 다자간 국제 수출 통제 체제입니다.

이 당국자는 정부가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통제 체제에 참여를 검토하는지를 묻는 말에도 "전 세계적으로 7대 (다자) 수출 통제 체제가 있는데 거기에 우리가 참여하고 있다"라면서 "지금까지 꾸준히 해오던 그런 관례대로 협의한다고 보면 되며, 정부가 (특정) 방향성을 확인하기는 어렵다"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공동위원회 개최 등을 위해 방미 중인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워싱턴DC의 한 식당에서 개최한 간담회에서 방미 성과와 관련, "한국의 대미 투자 기업에 대해 반도체법, IRA 등에 따른 보조금 및 세제 지원을 충분하고 차별없이 신속하게 지원할 것을 (미 측에) 요청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