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오늘이 복귀 시한…집에 찾아가 '복귀 명령'

<앵커>

정부가 오늘(29일)까지 병원으로 돌아오는 전공의들에게 책임을 묻지 않겠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전공의들의 복귀도 더욱 압박하고 있는데 전공의 대표자들의 집에 찾아가 업무개시 명령서를 직접 전달하기도 했습니다.

보도에 장세만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는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에게 우편이나 휴대전화 문자로 업무개시 명령을 전달했습니다.

여기에 더해, 어제부턴 각 수련병원 전공의 대표자들에겐 집을 찾아가 업무개시 명령서를 직접 전달하기 시작했습니다.

명령서를 못 받았다고 주장하는 걸 사전에 막겠단 겁니다.

정부는 복귀 시한인 오늘을 넘기면, 3.1절 연휴 이후 첫 업무 개시일인 다음 달 4일부턴 수련 병원별로 미복귀 전공의들의 명단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계획입니다.

대통령실도 거들었습니다.

증원 규모 2천 명에 대해선 물러설 뜻이 없음을 못 박았습니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의사 고령화 등까지 종합 고려할 때 가장 필요한 수준이 2천 명"이라며, 적정 규모가 350명이라는 의대 학장들의 주장에 대해선 "보건의료 인력 수급은 정부가 결정하는 것"이라고 일축했습니다.

대정부 투쟁에 나선 의사협회에 대해서도 "대표성을 갖기 어렵다"며 의료계 중지를 모아달라고 거듭 요청했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전공의들의 복귀를 호소하면서도 의료 대란 장기화에 대비한 추가 대책도 내놨습니다.

[한덕수/국무총리 : 수술 등 필수적인 치료가 지연되지 않도록 필수의료 수련을 받은 공보의 150명과 군의관 20명을 3월 중에 우선 투입하고….]

경찰은 복지부가 고발한 의협 전현직 간부 5명에 대해 공공범죄수사대로 배당해 수사를 착수했습니다.

또 병원을 지키고 있는 의료진이 의료 사고로 고소, 고발을 당한 경우엔 소환 조사를 늦추란 지침을 일선 경찰에 보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