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후쿠시마 원전 핵연료 반출 준비부터 난관…"로봇 팔 못 쓸 수도"

후쿠시마 원전 핵연료 반출 준비부터 난관…"로봇 팔 못 쓸 수도"
▲  후쿠시마 제1원전 핵연료 잔해 반출 위해 개발된 로봇 팔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당시 발생한 사고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원자로에 남은 핵연료 잔해의 반출 작업이 준비 과정부터 예상치 못한 난관에 부딪혀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도쿄신문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제1원전 2호기 원자로에 있는 핵연료 잔해를 꺼내기 위해 원자로 격납 용기 안팎을 연결하는 지름 약 55㎝의 원통형 구조물 덮개를 열었으나, 안쪽이 회색 퇴적물로 메워져 있다는 사실을 최근 확인했습니다.

퇴적물은 원통형 구조물 안에 있던 케이블 등이 사고에 따른 고열로 녹으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도쿄전력은 올해 하반기에 핵연료 잔해 반출을 위해 새롭게 제작한 '로봇 팔'을 길이가 약 2m인 원통형 구조물에 넣어 작업을 시작할 계획이었습니다.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는 로봇 팔은 일본과 영국 기업이 2017년 4월부터 함께 개발했으며, 최장 22m까지 늘어납니다.

하지만 원통형 구조물에 넣으면 3㎝의 간격만 남을 정도로 커서 퇴적물이 있으면 투입이 불가능합니다.

도쿄전력은 일단 연말까지 고압의 물을 이용해 퇴적물을 밀어낸다는 구상을 하고 있지만 퇴적물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할 경우에는 지름이 20㎝ 정도 되는 봉을 낚싯대처럼 활용해 핵연료 잔해를 추출한다는 대안도 수립했습니다.

그러나 이 봉은 로봇 팔보다 작업 범위가 좁고, 설치 과정에서 작업자가 피폭될 가능성이 있다고 도쿄신문은 전했습니다.

도쿄신문은 "현장에서 로봇 팔을 사용할 수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며 "도쿄전력이 기존 계획을 대폭 바꿔야 할 수도 있다"고 짚었습니다.

도쿄신문은 "이러한 방법으로는 원자로 폐기 목표 시점인 2051년까지 핵연료 잔해를 다 꺼낼 수 없다"며 "3호기 원자로는 전체를 물로 채운다는 안이 부상했지만, 구상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교도,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