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일본 오염수 방류에도 부산공동어시장 경매가격 '이상 없어'

일본 오염수 방류에도 부산공동어시장 경매가격 '이상 없어'
▲ 부산공동어시장 위판 현장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2차 방류에 나선 가운데 현재까지 국내 수산물 시장에는 오염수로 인한 어가 하락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국내 수산물의 30%가 유통되는 부산공동어시장의 '어종별 월 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수산물 위판(경매)량은 총 1만 7천394t, 위판액은 42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오염수가 방류된 8월 위판량인 1만 6천360t에 비해 물량은 6% 늘었고, 위판액은 8월 328억 원에 비해 12%가 증가한 것입니다.

9월 위판량과 위판액은 오염수 불안심리의 영향이 없었던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서도 늘어났습니다.

지난해 9월 위판량은 1만 2천916t, 위판액은 281억 원이었는데 올해는 지난해보다 위판량이 26%, 위판고는 34%가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체 위판량을 금액으로 나눈 수산물 kg당 단가로 비교해 볼 때도 올해 9월 전체 수산물 단가는 kg당 2천419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 kg당 2천181원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부산공동어시장을 대표하는 10개 어종을 개별적으로 살펴봐도 올해 8∼9월 사이 경매가격은 대세 하락 등 특이사항 없이 어종별로 수요와 공급에 따라 등락률을 달리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가자미와 갈치, 참다랑어, 병어, 삼치 등 5개 어종은 오염수 방류 이후 가격이 올랐고 고등어, 눈볼대, 방어, 전갱이, 오징어 등 5개 어종은 가격이 내렸습니다.

가자미(중)의 경우 9월 가격이 kg당 6천452원으로 8월 5천816원보다 10% 높았고, 참다랑어의 경우도 9월 가격이 kg당 4천190원으로 8월 2655원보다 상승했습니다.

삼치의 경우 9월 가격이 kg당 4천748원으로 8월 단가인 4천259원보다 11% 올랐고, 병어의 경우 9월 kg당 1만 8천570원으로 8월 7천295원보다 2.5배 상승하기도 했습니다.

반면 고등어는 9월 kg당 5천966원으로 8월 7천82원보다 14% 떨어졌고, 눈볼대는 8월 1만 170원으로 8월의 1만 1천664원보다 13% 하락했습니다.

방어는 9월 kg당 726원으로 8월 1천535원에 비해 53% 내렸고, 오징어도 9월 가격이 직전 달보다 47% 하락했습니다.

부산공동어시장 관계자는 "현재 어가는 조업량의 변화나 생물의 신선도 등에 따라 가격 변화를 설명할 수 있고 오염수 불안 심리로 인한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대목인 추석이 끼어있고, 오염수가 아직 국내에는 도착하지 않았다는 점 때문으로 보이는데 가격 변화 추이를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