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산 경사면 물 샘솟거나 산허리 금 가는 조짐 보이면 즉시 대피"

"산 경사면 물 샘솟거나 산허리 금 가는 조짐 보이면 즉시 대피"
▲ 산사태 발생한 논산시립납골당

최근 집중 호우로 전국 곳곳에서 산사태 피해가 속출하는 가운데, 산림청은 "산사태를 막을 수는 없지만 피할 수는 있다"며 사전 감지·대처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산림청은 지난달 말부터 시작된 장마로 전국에 많은 비가 내려 지반이 약화한 가운데 그제부터 집중호우가 또 내려 산사태 등이 잇따르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산지는 경사가 급하고 풍화암과 마사토 지대가 많아 집중호우 때 산사태가 발생하기 쉬운 지형적 여건입니다.

따라서 경사면에서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이 샘솟거나 평소 잘 나오던 샘물이나 지하수가 갑자기 멈출 때는 산사태 위험 신호로 봐야 합니다.

평소 잘 나오던 샘물이나 지하수가 갑자기 멈추면 산 위의 지하수가 통과하는 토양층에 이상이 생긴 것이기 때문입니다.

갑자기 산허리 일부에 금이 가거나 내려앉을 때, 바람이 없는데도 나무가 흔들리거나 넘어질 때, 산울림이나 땅울림이 들릴 때도 산사태가 발생할 조짐이거나 산사태가 이미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산사태는 흙이 적은 급경사지보다는 중간 정도의 경사를 지닌 산지에서, 뿌리가 깊이 박히는 활엽수림보다는 침엽수림에서 발생 위험이 더 큽니다.

산사태가 나면 돌과 흙이 떨어지는 방향에서 옆으로 이동해 가장 높은 곳으로 가야 합니다.

건물 안에 있을 때 산사태가 발생하면 화재 위험을 막기 위해 가스 밸브와 전기를 차단하고 대피해야 합니다.

만약 대피할 수 없어 집이나 건물 안에 있으면 산과 멀리 있는 높은 층 방으로 이동한 뒤 몸을 움츠려 머리를 보호하고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산림청은 지난 5월 15일부터 오는 10월 15일까지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 기간 전국 산사태 예방·대응을 총괄하는 '산사태예방지원본부'를 가동하면서, 24시간 비상근무체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주민 대피 시간 확보를 위해 24시간 전 제공하던 산사태 예측정보를 48시간 전까지로 앞당겨 제공합니다.

산사태 위험예보도 산사태 예보와 예비특보로 세분화해 알립니다.

일선 시·군 등 기초자치단체는 이를 토대로 실제 기상 상황 등을 판단해 산사태 특보를 내리고 마을 이장이나 관계자 등에게 전파합니다.

산림청은 어제 오후 1시를 기해 대전·광주·전남지역 산사태 위기 경보를 '경계'에서 '심각'으로 상향 발령했습니다.

앞서 서울·인천·세종·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경북에도 산사태 위기경보 심각이 발령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