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태원 유가족도 5·18 참배…전우원 반긴 광주 시민들

<앵커>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도 처음으로 5·18 기념식에 참석해서 민주묘지를 참배했습니다.

전두환 씨의 손자 전우원 씨도 다시 광주를 찾아 거듭 사죄의 뜻을 전했는데, 사람들 반응은 어땠는지, 이 내용은 사공성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보라색 스카프를 두르고 5·18 민주묘역을 참배하고 있는 사람들.

지난해 이태원 참사로 자녀를 잃은 유가족들입니다.

[고등학생이었어요. 도청에 마지막까지 함께하면서 희생을 했던 문재학 열사고.]

5·18 유가족들과 가족 잃은 아픔을 나누고 연대하기 위해 광주를 처음 찾은 겁니다.

[안영선/이태원 참사 유가족 : 막상 와서 보니까는 긴 세월 참 많이 힘드신 시간들을 보내셨겠다라는 것 때문에 마음이 참 많이 아팠습니다. 다시는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죠.]

지난 3월 전두환 씨 일가 가운데 처음으로 광주를 찾아 사죄한 우원 씨도, 어제 광주로 다시 내려와 5·18 묘역을 참배하고 어머니들과 함께 주먹밥을 만들었습니다.

오늘은 5·18항쟁의 흔적인 남아 있는 전남대학교를 찾아 거듭 사죄의 뜻을 밝혔습니다.

[전우원/고 전두환 씨 손자 : 5월의 정신이 시작되는 곳이 여기라고 생각합니다. 이날에 제가 함께 광주에 있을 수 있다는 게 너무 감사드리고 또 죄송한 마음도 굉장히 큽니다.]

광주 시민들은 환한 얼굴로 우원 씨를 반겼습니다.

[아이고 예쁘다. 아이고 예쁘다.]

[부덕임/5·18기념식 자원봉사자 : 오늘의 의미는 아픔에서 기쁨으로. 전두환 씨 손자가 오셔 가지고 우리 광주의 아픔을 씻어주는 것 같아 가지고.]

반면, 지난 1년 사이 돌출한 특전사 동지회 등의 '기습 참배'와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의 '5·18 헌법 수록 반대' 발언을 놓고는
매섭게 비판했습니다.

[김도영/광주 북구 : 내 눈앞에서 내 친구가 죽어 나가는 걸 본 사람으로서 (특전사 동지회 참배는) 인정하고 싶지 않아요.]

윤석열 대통령의 기념사에 대해서는 5·18 진상규명 의지가 담기지 않았다며 아쉬움을 표시하기도 했지만,

[장혜원/전남 목포 : 제일 중요한 핵심이 빠져 있다 보니까, 팥 없는 찐빵 먹는 느낌처럼 아쉽다 생각합니다.]

2년 연속 대통령이 기념식에 참석한 것에는 5·18 유족회 등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영상취재 : 이상학, 영상편집 : 원형희)

▶ "내년 총선 때 개헌 국민투표" vs "국면 전환용 꼼수"
▶ "계엄군 주인공?" 5·18 사진 비판에…"문 정부도 썼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