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징용 해법 발표 뒤 피해자 설득…"마음 바꾼 분 없다"

<앵커>

일본 피고기업 대신 정부 산하 재단이 배상금을 지급하는 강제동원 해법이 발표된 지 이틀 만인 어제(8일), 정부가 강제동원 피해자들을 만난 걸로 확인됐습니다. 정부는 대법원 확정판결을 받은 피해자 15명을, 개별적으로 만나 설득한다는 계획입니다.

보도에 정윤식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 산하 재단을 통한 제3자 변제 방식의 해결책을 발표한 정부의 가장 큰 고민은 배상금 수령을 거부하는 피해자들을 어떻게 설득하느냐인데 해법 발표 이틀 만에 정부가 피해자들을 직접 만난 걸로 확인됐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재단을 통한 배상 방식이 최종 결정된 만큼 공식적으로 피해자 측에 정부안을 설명했다"고 밝혔습니다.

핵심 내용인 재단을 통한 배상금 지급과 더불어, 강제동원의 아픔을 기억하고 계승하기 위한 방안도 설명한 걸로 전해졌습니다.

피해자 측 법률 대리인과 지원 단체는 대법원 확정 판결을 받은 열다섯 명의 피해자와 그 유족 가운데 재단을 통한 배상금 수령에 찬성하는 이들은 현재 4명으로 "정부안 발표 뒤 찬성으로 마음을 바꾼 분은 없는 걸로 안다"고 밝혔습니다.

한일 청구권 자금 수혜 기업을 대상으로 배상금 지급을 위한 재원 마련은 진행 중입니다.

포스코는 "합리적이고 적합한 절차를 거쳐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혀 2012년 약속한 100억 원 가운데 이미 지급한 60억을 제외한 40억 원을 기부할 걸로 알려졌습니다.

정치권 공방은 계속됐습니다.

국민의힘은 이번 해법이 민주당 출신인 문희상 전 국회의장이 냈던 방안과 같은 맥락이라며 이제 특별법 제정을 논의하자고 제안했고, 민주당은 정부안을 "사실상 대일 항복 문서"로 규정하고 이번 주말 야외 규탄대회에 당 지도부가 참석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박영일, 영상편집 : 박기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