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사라진 페이코인 7억 개…발행사 "못 밝힌다"

<앵커>

국내에서 만든 가상자산, 이른바 '김치코인'에 대한 신뢰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프라인에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한 페이코인이 상장폐지 위기를 맞고 있는데, 금융당국이 사라진 7억 개 물량의 코인을 문제 삼고 나선걸로 저희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

김정우 기자입니다.

<기자>

휴대전화 결제 서비스 시장 점유율 1위 업체 '다날'이 발행한 페이코인.

한때, 일부 식당과 카페 등에서 페이코인으로 결제가 가능했고, 가맹점을 더 넓힌다는 계획에 1개당 100원 했던 가격이 5천 원까지 뛰었습니다.

하지만, 이용자에게 받은 코인을 환전한 뒤 가맹점에 돈을 주는 방식을 금융당국이 사실상 '매매'로 보고, 가상화폐 사업자처럼 은행 실명 확인 계좌를 확보하라고 요구하면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계좌를 확보하지 못해 상장폐지 위기에 처한 페이코인은 부당하다며 법적 대응에 나섰는데, 추가로 유통량 문제까지 불거졌습니다.

SBS 취재진이 입수한 금융위 금융정보분석원 보고서에 따르면, 발행된 페이코인 19억 개 가운데 결제 용도로 사용됐거나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거래된 물량은 2억 개가 조금 넘는 수준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물량의 3배가 넘는 6.9억 개 정도가 제3자에게 넘어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시세대로라면 2천700억 원 정도 규모입니다.

금융위는 "이 자금이 불법적으로 쓰일 우려가 있다"면서, 누구에게 준 건지 밝히라고 요구했는데 다날 측은 "회사 간 비밀 유지를 전제로 맺은 계약이라 밝히기는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홍기훈/홍익대 경영대 교수 : 뭘 얼마나 발행했는지 아니면 어떤 메커니즘으로 비즈니스에 이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모두 공개되는 게 아주 정상적인 건데.]

지난해 말 위믹스에 이어 페이코인까지, 가상자산 업계의 유통량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거래소의 자정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김균종·제 일, 영상편집 : 이상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