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중국 내 미래 투자 불투명…"최악은 피했지만 현상 유지"

<앵커>

정부는 우리 기업들의 중국 내 반도체 공장에는 큰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업계 분위기는 좀 다릅니다. 최악은 피했지만 현상 유지 수준이라며 미래 중국 투자는 불투명해졌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습니다. 

김관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삼성전자가 30조 원을 투자한 중국 시안의 반도체 공장.

삼성 낸드플래시 반도체의 40%를 생산하는데, 주력은 데이터 저장 공간을 촘촘히 쌓은 '128단' 제품입니다.

하지만 이미 중국 업체들도 200단 이상 제품을 생산하고 있어 삼성으로서는 업그레이드가 시급합니다.

미국 반도체법 세부 규정에 따르면 공장 내 기술적 업그레이드는 가능합니다.

문제는 첨단 제조 공정을 위해서는 그에 맞은 '반도체 장비'들이 필요한데, 미국은 핵심 반도체 장비의 중국 수출을 오는 10월까지만 허용한 상태입니다.

[김양팽/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 첨단 장비 도입 없이는 획기적인 생산량 증가 이 부분은 기대하기 힘들죠. 생산량이 20%, 30%씩 증가하려면 선폭이 좁아지고 해야 되는데….]

세계 D램 시장 2위인 SK하이닉스는 중국 우시 공장에서 제품의 40%를 생산합니다.

3위인 미국 마이크론과 격차를 벌려야 하는데, 미국 정부의 지원금을 받을 경우 5% 이상 증설이 불가능해집니다.

[김정호 교수/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 : 경쟁력을 잃게 되고 장기적으로는 이제 중국의 공장을 유지할 이유가 없어지는 상황까지도 예견할 수가 있겠습니다. 그러니까 상당히 강력한 압박인 거죠.]

결국 '현상 유지'가 가능하게 만든 정도로, 미래 전략 수립은 여전히 불투명한 셈입니다.

10년 간의 유예 기간 동안 중국 투자를 줄이고 생산 거점을 다변화해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됐습니다.

오늘(22일) 반도체 세액 공제 비율을 최대 25%까지 높이는 이른바 'K칩스법'이 국회 기재위를 통과했는데, 우리 산업 이익을 관철하는 더 적극적인 외교적 노력이 요구됩니다.

(영상편집 : 채철호)

▶ "중국에서 5% 이상 증산 불가"…보조금 리스크 첩첩산중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