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사실은] 국지성 호우, 최근 들어 정말 잦아졌나요?

[사실은] 국지성 호우, 최근 들어 정말 잦아졌나요?

올 여름은 '폭우의 해'로 기록됐습니다. 딱 두 달 전에는 서울·수도권 지역에서, 한 달 전에는 태풍 힌남노로 부·울·경 지역에 엄청난 폭우가 내리면서 막대한 피해가 잇따랐습니다. 불과 한두 달 전 이야기지만, 금세 잊혀지는 것 같습니다. 여전히 피해자 분들은 고통 속에 하루 하루를 보내고 있을 겁니다.

이제 겨울로 접어들고 있지만, SBS 사실은팀은 "일 터지면 그 때 뿐"이 반복되지 않도록, 지난 여름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짧은 기간에 비가 집중적으로 쏟아지는 '국지성 호우'란 말, 요즘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한국도 동남아 날씨가 된 것 아니냐며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정말 최근 들어 이런 국지성 호우가 잦아졌을까요. SBS 팩트체크 사실은팀이 최근 50년 치 강우량 패턴을 분석, 제도적 개선점을 살폈습니다.

사실은 국지성 호우 폭우

침수 피해
.

50년 강우량 분석해보니…


"한반도는 더 이상 온대 기후 지역이 아니다", "홍수도 잦아진다"……

24년 전, 한 종합 일간지 기사에 나온 말입니다. 이상 기후 때문에 폭우가 잦아졌다는 말, 어제 오늘 얘기는 아닙니다. 그만큼 익숙합니다.

사실은 국지성 호우 폭우
한겨레, <한반도 이미 아열대 기후 징후>, 1998년 12월 7일자.

최근 들어 정말 국지성 호우가 잦아졌는지 추이를 살펴봤습니다. 기상청에 최근 50년 치 강우 자료를 요청해 확인했습니다. 기상청이 관측망을 전국적으로 대폭 확충한 시기가 1973년이라, 올해를 포함해 딱 50년 치 데이터가 나왔습니다. 

데이터는 각 도시 대표 관측소의 관측 값으로 산출됐습니다. 서울을 비롯해 수도권인 인천과 수원, 강원권의 춘천과 강릉, 충청권인 대전과 청주, 영남권인 부산과 울산, 대구, 호남권인 광주와 전주, 마지막으로 제주까지 총 13개 지역입니다.

이를 토대로 1시간 최다 강수량이 50㎜ 이상인 시기가 몇 번이나 있었는지 확인했습니다. 올해 워낙 기록적인 폭우가 내려서 그렇지, 시간당 50㎜의 강수량은 10년 전만 해도 강남역 부근 같은 저지대 지역을 침수시켰을 정도로 엄청난 양입니다.

아래 그래프는 1973년부터 올해 현재까지 1시간 최다 강수량이 50㎜ 이상인 빈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사실은 국지성 호우 폭우

1시간 최다 강수량이 50㎜ 이상이었던 날이 열흘 이상이었던 해는 1985년과 1998년, 2008년, 2012년, 2017년, 2020년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해 평균 4.7번 정도로 계산됐습니다. 눈으로 봐도, 최근으로 올수록 빈도가 잦아지고 있습니다.

이걸 10년 단위로 끊어서 분석해보겠습니다. 1973년부터 10년, 1983년부터 10년, 이런 식으로 나눈 뒤, 한해 평균을 구하는 식입니다.

사실은 국지성 호우 폭우

1973년~1982년은 한 해 평균 2.4번에 불과했지만, 2013년부터 최근까지는 5.7번으로 두 배 정도 늘었습니다. 그만큼 집중 호우가 잦아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추세선을 따로 그려봤는데, 꽤 가파르게 올라가고 있습니다.

집중 호우가 최근 들어 잦아진다는 것, 데이터로도 뒷받침되고 있습니다.
 

시간당 강우량이 94.3㎜를 넘었을 때는?


2017년 행정안전부는 '지역별 방재성능 설정·운영 기준'을 발표했습니다. 지역 별로 30년 올까 말까한 폭우를 확률로 계산한 수치를 내놨는데, 서울의 경우 시간당 최다 강수량을 94.3㎜로 잡았습니다. 즉, 30년 주기 확률로 시간당 최다 강수량을 94.3㎜이 내릴 수 있으니, 이 정도 폭우에 대비해 방재 시설을 만들어야 한다는 취지입니다.

안전을 위해 매우 보수적으로 잡아 놓은, 정부의 공식 기준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에 앞서 서울시는 2016년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을 발표했는데, 여기에서는 행정안전부 기준보다 조금 더 높은 95.9㎜를 제시했습니다.

강남 일대 물바다

그렇다면, 정부가 제시한 94.3㎜이라는 수치, 말 그대로 30년에 한 번 올까 말까한 수치일까요. 

역시 기상청 데이터를 토대로, 행안부 수치를 기준으로, 2000년대 이후 시간당 최다 강수량이 94.3㎜를 넘었던 때를 조사해 봤습니다. 

사실은 국지성 호우 폭우

참고로 위 데이터는 기상청 지역별상세관측자료(AWS) 데이터로, 공식 수치는 아닙니다. 서울의 공식 기록은 서울 종로구의 기상관측소 수치가 기준입니다. 다만, 지역별 기준을 통해 세밀하게 살펴봐야 할 것 같아 AWS 자료를 참고했습니다.

쭉 보시면, 2000년 8월 7일부터 현재까지, 총 22년 동안, 총 6차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행안부의 기준치를 기계적으로 적용해 보면, 30년 한 번 올까 말까한 빈도가 아니라, 사실상 4년에 한 번 올까 말까한 빈도로 계산됐습니다.

집중 호우는 잦아지고 있고, 나아가 정부가 보수적으로 잡아 놓은 기준치마저 쉽게 넘을 정도로 호우의 강도도 거세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강남 침수 (리사이징)
.

앞으로 어떻게?


서울시는 지난 8월, 기록적 폭우 피해에 방재 기준치를 기존의 30년 확률 강우량인 '시간당 95.9㎜'에서, 100년 단위인 '시간당 114.2㎜' 수준으로 올리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맞춰 방재 시설도 재검토할 것이고, 자연히 관련 예산도 올라갈 겁니다.

사실은 국지성 호우 폭우

이런 기준 상향은 단순히 서울시를 너머 전국적으로 확대할 필요도 있습니다. 앞서 분석대로, 1시간 최다 강수량이 50㎜ 이상이었던 날은 50년 동안 두 배 정도 늘었고, 30년을 가정한 '만약의 수치'는 4~5년 한 번 꼴의 '경험적 수치'가 되고 있습니다. 방재 성능과 기술은 날로 발전하는데, 그 발전의 속도가 기록적 폭우의 빈도를 따라잡지 못하는 셈입니다.

기상청의 <우리나라 109년 기후변화 분석 보고서>는 최근 30년(1991~2020년)의 한반도 연평균 기온은 과거 30년(1912~1940년)에 비해 1.6도 상승했다고 썼습니다. 최근 10년 사이에는 폭염이 가장 많이 발생했습니다. 이런 환경은 수중기를 더 많이 머금을 수밖에 없고, 자연히 강력한 집중 호우로 발전할 개연성이 커집니다. 물론 그 피해는 고스란히 우리의 몫입니다.

기록적 폭우에 시름 했던 보름의 기간이 지났습니다. 지금부터는 대책 수립에 시동을 걸어야 할 시기입니다. 당연히 정부가 고민해야 할 몫입니다. 나중에 '일 터지면 그때 뿐'이라는 말이 또 나오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인턴 : 강윤서, 정수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