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친절한 경제] 시총 20조 원 증발…네이버 · 카카오 '직격탄' 맞은 이유

<앵커>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10일)도 김혜민 기자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지난 이틀 동안 카카오랑 네이버 주가가 진짜 엄청 많이 떨어졌더라고요.

<기자>

이틀 동안 카카오, 네이버의 시가총액이 무려 20조 원이 증발했습니다. 특히 카카오는 이틀간 주가가 16% 넘게 하락했습니다.

그동안 카카오는 잇따라 자회사를 상장하면서 문어발식 확장을 해왔고요. 이에 따라 주가도 상승곡선을 타고 있었죠. 그런데 지난 7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금융소비자보호법 해석이 제동을 걸었습니다.

카카오페이나 네이버파이낸셜 같은 온라인 금융 플랫폼들은 그동안 금융상품을 비교하거나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거든요.

이런 '소비자 맞춤형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앞으로는 금융당국에 등록해야 한다고 금융위가 밝힌 겁니다.

여기에다가 정치권에서는 플랫폼 기업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발언까지 나왔습니다. 사실 상 빅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에 들어가겠다는 예고로 비춰지면서 주가 하락에 기름을 부었습니다.

<앵커>

실제로 금융당국이 규제에 나섰고, 행동을 했고, 그다음 정치권에서는 규제를 더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나오다 보니까 이런 영향을 미친 것 같은데, 규제 부분 조금 자세하게 알아볼게요. 금융당국이 했다는 규제, 소비자 맞춤형 금융서비스라는 걸 규제한 거잖아요. 그런데 이게 뭡니까?

<기자>

저도 이번에 취재하다가 알게 됐는데요. 그동안 저도 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더라고요. 큰 카테고리로 보면 보험과 투자, 카드를 추천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카카오페이에서는 '알 모으기'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카카오페이로 결제를 할 때마다 알을 하나씩 주거든요. 고객이 계좌를 만들면 알에 적힌 금액만큼 펀드 같은 것에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가 이렇게 고객들이 증권 계좌를 만들도록 유도해서 유치한 계좌가 현재 500만 개에 달하는 걸로 알려졌습니다.

또 신용카드 추천의 경우에는 토스나 뱅크샐러드 같은 여러 핀테크 기업이 고객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말한 이런 서비스들은 기존에는 따로 등록을 해야 영업할 수 있었습니다. 신용카드 추천은 여신금융법상 모집인으로 먼저 등록해야 하고요. 펀드 중개의 경우 투자권유대행은 개인만 할 수 있었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기존의 금융회사들은 저런 기준에 맞게끔 신고도 하고 해야 하는데 빅테크 기업이니까 그동안 규제를 완화해 줬다는 거잖아요. 그런데 이걸 다시 옥죄겠다. 기존의 금융회사들과 비슷한 기준으로 규제를 하겠다. 이런 의미인가요?

<기자>

그렇습니다. 어제 금융위원장이 기자들을 만나서 한 얘기가 있습니다.

'동일 기능, 동일 규제' 원칙인데요, 그동안 산업 환경이 빠르게 바뀌어 가는 만큼 빅테크나 핀테크 기업에게 다양한 혜택을 주고 있었는데, 앞으로는 기존의 금융권과 똑같은 규제를 적용하겠다는 겁니다.

그래서 금융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상당수를 미등록 '중개'로 판단하고 오는 24일까지 서비스를 중단하거나, 아니면 금융소비자보호법에 따라 등록을 하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빅테크, 핀테크 기업들은 유예 기간을 좀 더 연장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금융당국의 태도는 강경합니다.

이미 올해 초부터 여러 차례 간담회를 통해서 핀테크 기업들한테 이 방침을 전달했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변화가 아니라는 거죠.

<앵커>

올초부터라면 9개월 됐네요? 그럼 갑작스럽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궁금한 게 있습니다. 지난 이틀 동안 어쨌든 이런 상황 때문에 주가가 많이 빠졌잖아요. 어떻게 될 것 같습니까, 앞으로?

<기자>

두 가지 시각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한쪽에서는 정부의 조치에 비해서 과도한 공포가 확산됐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네이버는 사실 이번 조치와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습니다. 금융 플랫폼이라는 이유로 카카오와 함께 덩달아 주가가 급락했습니다.

카카오페이는 일정 부분 서비스에 차질이 빚어지는 게 불가피하기는 하겠지만 아예 사업을 접어야 하는 이런 큰 타격을 입는 건 아닙니다.

지난해 카카오페이의 매출액 중에서 금융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22%에 불과합니다. 반면에 이번 조치가 빅테크 규제의 시작이라는 시각도 있습니다.

여당에서 빅테크 기업에 대해서 강도 높은 비판을 이어가고 있는데, 앞으로 정부가 금융 외에 다른 산업까지 규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고요. 그렇다면 주가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겠죠.

어쨌든 빅테크 기업에 대한 정부와 국민들의 시각이 '혁신'에서 '독과점'으로 변하고 있다는 게 이번 사태로 다시 한번 확인이 됐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