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친절한 경제] '직업' 위해 온 서울, '집' 때문에 나갔다

<앵커>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27일)도 김혜민 기자와 함께하겠습니다. 김 기자, 제가 오늘 시작하기 전에 좀 개인적인 거 하나만 여쭤볼게요, 혹시 작년에 이사 같은 거 하셨어요?

<기자>

네, 저 작년에 이사했습니다.

<앵커>

그렇습니까? 이사하면 주민등록 같은 거 옮겨야 하잖아요, 주소지. 그런데 작년 한 해 쭉 보니까 우리 김 기자처럼 이사를 하거나 다른 이유로 주민등록상의 주소가 변경된 사람들이 꽤 많다고 하던데 내용 좀 설명해 주시죠.

<기자>

네, 저처럼 이사를 하면서 이렇게 주소가 바뀐 국민들이 5년 만에 가장 많았습니다.

지난해 인구 이동자 수가 773만 5천 명이었는데요, 1년 전보다 8.9%, 그러니까 63만 명이나 더 거주지가 바뀌었습니다.

왜 이동했는지 그 이유도 물어봤는데요, 집 때문이라는 사람이 10명 중에 4명이었습니다.

작년이랑 비교하면 집 때문에 이사한 사람이 24만 7천 명 늘었습니다.

가족 문제와 직업 때문이라는 응답보다도 훨씬 많았고요, 아무래도 지난해 정부의 부동산 대책 때문에 이사 다니신 분들 많았잖아요, 그 영향을 받은 걸로 보입니다.

실제로 지난해 주택 매매도 59%, 전월세 거래 역시 12% 증가했다고 합니다.

통계청에서도 매우 이례적인 경우라고 설명을 했습니다. 들어보시죠.

[김수영/통계청 인구동향과장 : 산업 발달의 영향으로 (경제 성장이) 둔화가 되고 이동 자체가 감소하는 게 일반적인 장기적 추세입니다. 인구가 고령화되고, 교통·통신 발달하면서 굳이 이사 안 가도 출·퇴근 할 수 있어서…. 2020년의 경우에는 주택 사유로 인한 이동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면서 이동이 좀 많이 늘어난 것 같습니다.]

<앵커>

통계청에서 이례적이다, 이렇게 평가한 게 좀 귀에 들어오던데 결국 이례적인 이유는 집값 때문인 거잖아요. 그러면 지역별로 집값이 오른 게 차이가 있는데 이게 또 어떤 영향을 준 게 있습니까?

<기자>

네, 그래서 제가 수도권의 전입과 전출을 자세히 봤습니다.

확정적으로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추론은 가능한 게 몇 가지 있습니다.

우선 서울은 들어온 사람보다 나간 사람이 작년보다도 많았습니다.

순 유출이 6만 5천 명 정도인데요, 서울에 들어오는 건 대부분 직업 때문이었지만 나가는 건 상당수가 주택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경기도는 반대로 나간 사람보다 들어온 사람이 더 많아서 순 유입이 16만 8천 명이고요, 들어오는 이유는 주택이라는 답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나가는 이유에 대해서는 교육이라고 답했습니다.

정리해서 말씀드리면 이 '집' 때문에 서울에서 나가고 경기도에서는 들어온 사람들이 많은 거죠.

크게 오른 전세나 월세를 견디지 못해서, 아니면 아예 내 집 마련을 하면서 좀 더 저렴한 서울 외곽을 찾는 사람들이 꽤 있었던 걸로 짐작이 됩니다.

<앵커>

집값이 너무 올라서 내가 살던 집을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떠나야 했다, 이런 얘기인 것 같아서 좀 마음이 그러네요. 그런데 반대로 얘기해 준 것처럼 서울에 또 들어온 사람들도 많이 있잖아요, 이 사람들은 주로 어떤 사람들이에요?

<기자>

주로 20대들이 많이 지방에서 수도권이나 세종시로 올라오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대학교 입학을 하거나 일자리를 얻기 위해서겠죠.

반면에 30대부터는 이게 확 달라집니다. 30대 이상은 모두 서울에서 나간 사람들이 더 많았습니다.

또 세종시와 경기도, 이 외에 다른 지방으로도 많이 옮겼는데요, 30대는 유독 제주도를 좋아했고요, 40대 이상은 강원도로 많이 이동했습니다.

30대 이상은 집 문제 등으로 서울에서 멀리 벗어나지 못하고 경기도로 간 사람들이 제일 많기는 하지만 코로나19의 감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강원이나 제주로 옮긴 사람들도 적지 않았습니다.

<앵커>

지금까지는 서울과 경기도, 그러니까 수도권 관련된 이야기들을 쭉 한번 들어봤어요, 그런데 수도권 제외한 지역들 있잖아요. 여기는 좀 어떻습니까, 상황이?

<기자>

네, 중앙공공기관이 이전한 세종을 제외하고 비수도권에서는 대부분 수도권으로 인구가 빠져나가고 있었습니다.

그중에서도 경상도와 부산, 대구 등이 심각한 상황이었는데요, 그래서 각 지자체들은 포상금까지 줘가면서 사람들을 붙잡고 있었습니다.

경북 포항에서는 다른 지역에 1년 이상 주소를 둔 사람이 포항으로 이전을 하면 상품권 30만 원을 지급하고, 전남 진도에서는 이곳에 살지만 주소를 옮기지 않은 사람들에게 전입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단편적인 대책은 별 도움이 안 됩니다.

비수도권에서 나가는 사람들한테 왜 이사를 가냐 이렇게 물었거든요, 그랬더니 대부분 직업 때문이라고 꼽았고 그다음으로 교육 문제라고 답했습니다.

선심성 포상금보다는 직장이나 교육 같은 이런 근본적으로 삶을 지속할 수 있는 인프라가 더 절실한 거죠.

지자체 담당자분들이 정책을 낼 때 이번 통계를 꼭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