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주식이든 집이든 사면 올랐다

<앵커>

보신 거처럼 경제가 어느 때 보다 어려웠던 올해였지만, 주식과 부동산시장만큼은 뜨거웠습니다. 코스피는 오늘(30일)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2,900선에 육박했습니다. 지난 3월 말에 가장 많이 떨어졌을 때와 비교하면 거의 두 배 정도 오른 겁니다. 이와 함께 집값 역시 가파르게 치솟았는데 결국 자산을 가진 계층은 부를 늘리기 쉬웠던 한 해였습니다.

계속해서 박찬근 기자입니다.

<기자>

40대 A 씨의 올해 상황은 코로나의 역설적인 수혜가 누구에게 가능했는지 보여줍니다.

IT 업종 대기업에 다니는 A 씨에게는 일자리나 급여 삭감의 위기는 없었습니다.

유례없는 초저금리로 5천만 원을 빌렸고 주식과 오피스텔을 사는 데 썼습니다.

[A 씨/40대 직장인 : 주식으로 해서는 한 2천만 원 정도, 그다음에 주택 구매해서 거래대금(매매가)이 오른 건 1억 원 정도. 뭔가 과도기적인, 큰 도약을 할 수 있는 그런 한 해였고요.]

지난 3월 폭락 이후 주가는 쉼 없이 뛰었고 올 한 해 전국 아파트값은 평균 10% 정도, 특히 서울은 13% 넘게 급등했습니다.

[곽상준/신한금융투자 본점 영업부 부지점장 : (고객들 수익률이) 올해가 거의 뭐 한 30% 내외 났으니까. 한국인들이 돈이 이렇게 많았구나, 그동안 어디 갔었나 할 정도로…]

소득 상위 10~30%, 차상위 고소득층의 자산이 올 한 해 평균 1억 1천400만 원, 21% 정도 올랐다는 설문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김진선/우리금융경영연구소 실장 : 부동산을 실제로 더 매입했다기보다는 그냥 가치 상승 금액대 따라서 자산이 증가한 것으로 보는 부분이 더 맞는 것 같아요.]

특히 금융자산 30억 원 이상, 총자산 100억 원 이상을 보유하면 초고액 자산가로 분류하는데 이런 최상위 자산가들은 더 안정적으로 부를 축적할 수 있었던 시기였습니다.

[유성원/한국투자증권 초고액자산가 담당 상무 : 아무래도 금융자산이 많기 때문에 분산투자가 가능하세요. 고른 평균 수익률을 가지셨기 때문에…]

이런 식의 자산 격차 확대는 피할 수 없는 건지, 또 정당한 건지 그 질문에 대한 답이 필요한 때입니다.

(영상취재 : 최호준, 영상편집 : 이승열, CG : 이종정·조수인)  

▶ 빚은 늘고 대출은 막히고…꾸역꾸역 살아갑니다
▶ 코로나 때문에 더 심해진 양극화, 전문가에 물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