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안중근 유해찾기 키워드 ⑧ - 안중근 의사 동생 안정근 선생 거주지를 찾아냈다

중국 산둥성 웨이하이(威海)시. 인천의 새벽 닭 우는 소리가 웨이하이에서 들린다는 말이 있습니다. 실제 그렇기야 하겠습니까만은 그만큼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중국 도시라는 얘기입니다. 지난 14일 웨이하이시 젠셔지에(建設街) 101호 앞에선 날카로운 전동 공구로 큼지막한 바위에 글자를 새기는 소리가 울려 퍼졌습니다. 바위 표면엔 한자와 숫자가 정성스럽게 새겨졌고, 새겨진 글자는 금색으로 칠해져 눈에 잘 띄게 만들었습니다. 바위에 새겨진 글자는 '롄허리(聯合里) 11호. 안정근 옛 거주지. 안중근의 동생. 1926-1935년 웨이하이에서 은거'. 즉 안중근 의사의 동생인 안정근 선생이 이 곳에 10년간 거주했다는 걸 알려주는 표지석입니다.
안정근 선생 거주지터 표지석
안정근 선생(1885-1949)은 표지석에 쓰여진대로 안중근 의사의 친동생 두 명 중 바로 아래 동생입니다. 또 평생 모든 재산을 농촌 계몽운동과 독립운동 자금으로 쓴 '조선 농민의 어머니' 왕재덕 여사의 사위이기도 하죠 .김 구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과도 인연이 깊습니다.

선생의 둘째 딸 안미생이 김 구 주석의 맏아들 김 인과 결혼했습니다. 사돈지간인겁니다. 안정근 선생은 25살이던 1910년 3월 10일 '국권이 회복된 조국에 묻어달라'는 형의 유언을 받들기 위해 막내 동생 공근과 함께 형이 수감된 뤼순으로 향합니다. 사형이 집행되던 3월 26일, 형의 유해를 거두기 위해 감옥으로 달려가지만, 일제는 안 의사의 유해를 내주지 않습니다. 안 의사의 묘가 항일운동의 성지가 되는게 두려웠기 때문이죠. 당시 감옥법 74조를 어기고 형의 유해를 내주지 않는 일제의 만행에 울부짓던 그날의 참담한 기억이 안정근 선생의 일생에 가장 큰 전환점이 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안정근 선생 사진과 김구 선생과 함께 찍은 사진
안중근 의사에겐 법학 공부에 흥미를 갖고 있는 대견한 동생이었던 안정근 선생은 1914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의 항일독립운동 단체인 권업회 활동으로 독립운동에 투신합니다. 1918년엔 중국 지린 지역에서 독립을 외친 '무오대한독립선언문' 발표에 참여합니다.

1919년 3.1운동 이후엔 가족들을 데리고 상하이로 건너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탄생에 큰 역할을 하죠. 상하이와 간도 지역을 오가던 안 선생은 독립운동 선전활동과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합니다. 장모님 왕재덕 여사의 도움도 많이 받아 당시 독립운동하는 사람치고 안 선생 신세를 지지 않은 인물이 드물었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하지만 1926년 무렵부터 안정근 선생은 뇌질환을 앓게 됩니다. 베이징에서 웨이하이로 거처를 옮긴 건 이 때문입니다. 10년간의 웨이하이 생활을 마친 안 선 생은 1935년 난징으로 가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동선을 같이 합니다. 일제의 난징 공습으로 임시정부와 함께 피란길에 올랐고, 홍콩, 베트남 하노이를 거쳐 1942년 충칭 임시정부에 다시 합류하지만, 1949년 상하이에서 병으로 세상을 떠납니다. 안 선생에겐 일제 시대 독립운동 공로로 1987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됐습니다.

웨이하이는 안정근 선생이 베이징에서 뇌질환을 앓고 난 뒤 이동해서 10년을 거주한 곳입니다. 평생 중국 전역을 휘젓고 다녔던 안 선생의 일생에서 적지 않은 기간 체류한 곳이죠. 그럼에도 안정근 선생의  웨이하이에서의 행적은 알려진 게 별로 없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안 선생이 웨이하이에서 거주했던 주거지 터를 발견하고, 그 터에 표지석을 세운 것은 의미가 큽니다. 이 의미있는 결과엔 안중근 의사 유해발굴에 헌신하고 있는 김월배 교수와 함께 한 중국인 역사학자의 집념과 노력이 담겨 있습니다. 청일전쟁 연구가인 쑨젠쥔(孫建軍)씨가 그 장본인입니다.
1936년 일본의 주칭다오영사관 총영사 니시 하루히코가 외무성 대신 아리타 하치로에게 제출한 기밀보고서
쑨 씨는 연구 자료를 찾기 위해 일본 국립도서관 사이트를 열람하다가 안정근 선생의 웨이하이 행적 자료를 찾아냈습니다. 1936년 일본의 주칭다오영사관 총영사 니시 하루히코가 외무성 대신 아리타 하치로에게 제출한 기밀보고에 안 선생의 근황이 상세히 적혀 있었던 겁니다. 쑨 씨 입장에선 그냥 지나칠 수도 있었던 자료였지만, 우리에겐 소중할 수 밖에 없는 항일의 역사 자료를 발굴해낸 것입니다.

이 보고서엔 안정근 선생이 웨이하이시에서 '대동공사'라는 전보회사에서 근무했고, 김 구 주석의 어머니 곽낙원 여사를 방문하는 등 임시정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활동했음을 명확히 밝혀주고 있습니다. 안 선생의 거주지인 롄허리 11호는 도로 명칭이 여러차례 바뀌어 현 위치를 찾는 게 쉽지 않았습니다. 직접 찾아다니며 탐문할 수 밖에 없었는데, 현지 노인들의 어린 시절 기억을 떠올리고, 옛 사진들을 일일이 비교한 결과 롄허리 11호의 위치가 현 젠셔지에 101호 앞이란 사실을 확정했습니다.
안정근 선생 거주지터의 현 주소 젠셔지에(建設街) 101호
안정근 선생의 행적과 거주지를 찾았지만 이를 기념하는 일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사실 중국내에서 우리 독립운동 유적지를 복원하는 것은 물론이고, 표지판 하나 설치하기도 어려운 게 현실입니다. 하지만 김월배 교수와 쑨젠쥔씨는 안 선생의 거주지터 표지석을 세우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웨이하이시 왕루밍 서기가 작년 12월 좌담회를 개최했는데, 이 자리에서 안정근 선생 거주지 비석 설치를 건의했습니다. 이토 히로부미를 주살한 안중근 의사와 그 가족의 독립운동 행적을 상세히 설명하고 표지석 설치 설득에 나선겁니다. 결국 두 사람의 간절한 노력의 결과로 왕루밍 서기는 표지석 설치를 허락했습니다.
안정근 선생 거주지터 현재 모습
안정근 선생의 주거지터 표지석 설치는 단순히 역사 유적지를 찾았다는 사실 그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역사 기념관 재개관과 이번 안정근 선생 거주지터 표지석 설치 허가를 통해 중국 정부가 안중근 의사와 그 가족의 독립운동 활동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중근 의사의 정신을 기리는 일은 국가나 이념을 초월한다는 의미입니다.

중국 정부가 안중근 의사의 유해발굴의 당위성을 공감하고, 유해 발굴에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는 만큼, 안중근 의사의 유해발굴도 결국은 우리가 얼마만큼 잘 준비해서 적극적으로 나서느냐의 문제만 남아 있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습니다.     

[취재파일 - 안중근 유해 찾기 키워드]    
▶ [취재파일] 안중근 유해 찾기 키워드 ① - '감옥서의 묘지'가 어딘가?
▶ [취재파일] 안중근 유해 찾기 키워드 ② - 주목해야 할 '둥산포' 묘지
▶ [취재파일] 안중근 유해 찾기 키워드 ③ - 최후 형무소장 '타고지로'의 악행
▶ [취재파일] 안중근 유해 찾기 키워드 ④ - "안중근 의사는 침관에 누워 계신다"
▶ [취재파일] 안중근 유해 찾기 키워드 ⑤ - "어렵고 힘들다"는 건 국민도 다 압니다
▶ [취재파일] 안중근 유해 찾기 키워드 ⑥ - 안중근 기념관은 돌아오는데…
▶ [취재파일] 안중근 유해 찾기 키워드 ⑦ - 사라진 안 의사 가족의 유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