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단독] '정준영 단톡방' 멤버들, 총경 존재 알고 있었다

이 기사 어때요?
일부 연예인들이 거리낌 없이 일탈을 저질렀던 배경에 믿는 구석, 그러니까 힘 있는 사람들이 있었던 게 아니냐, 승리, 정준영 씨 사건을 보는 국민들의 시선이 따갑습니다. 개인적인 민원 해결부터 유흥업소 뒤를 봐준 의혹까지 가지가지입니다. 일단 개인적인 민원 쪽은 연예인들이나 해결해줬다고 지목된 경찰 총경, 모두 그런 일 없다고 주장 중입니다. 그런데 저희가 입수한 카톡 내용을 자세히 뜯어보고 연예인들과 직접 접촉을 해봤더니, 이 주장과는 다른 정황들이 여럿 나옵니다.

김종원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21시간 밤샘 조사를 받은 FT 아일랜드 최종훈 씨.

여성 신체 사진을 촬영해 공유한 혐의와 함께 2016년 2월 음주운전을 하다 적발된 뒤 경찰에게 부탁해 보도를 무마한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최 씨는 대화방 멤버들이 경찰총장이라고 부르던 윤 모 총경과도 관계가 없다며 경찰 유착 의혹을 부인했습니다.

[최종훈 (오늘 아침) : (경찰총장이라고 불린 윤 총경하고 어떤 사이세요?) 저하고 관계 없습니다.]

하지만 SBS 취재 결과 단체 대화방 참여자 대부분이 이미 윤 총경의 존재를 알고 있었던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취재진이 단체 대화방 보도 이전에 참여자들에게 연락해 대화에 나오는 '경찰총장'이 누구냐고 물었더니 멤버 가운데 한 명이 한 장의 사진을 보내왔습니다.

사진의 주인공은 이번에 조사를 받은 윤 총경이었습니다.

게다가 멤버들은 윤 총경이 청와대에서 근무했다는 사실, 또 윤 총경이 이들과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 유리 홀딩스 유 모 대표와 함께 골프를 치는 사이라는 사실까지 잘 알고 있었습니다.

이번 경찰 조사에서 윤 총경과 최종훈 씨 모두 청탁 의혹을 부인하고 있지만 오래전부터 서로 알고 지냈을 가능성만큼은 높아지는 상황입니다.

윤 총경은 최종훈 씨 음주운전 시점에 단속 관할인 서울 용산 경찰서에 근무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보도 무마 청탁이 있었다면 윤 총경이 주도적으로 했는지 아니면 다른 윗선이 있는지 등 청탁의 경로도 이번 수사에서 명확히 규명해야 할 대목입니다.

---

또 이 연예인들의 카톡방에서는 법과 공권력을 조롱하는 대화가 자주 이어졌습니다. 잘못을 하지 말자, 이런 말 대신에 잘못 해도 어떻게든 뉴스만 안 나가게 막으면 된다는 식입니다. 저희가 10달 치 카톡만 가지고 있는데 우리가 아직 모르는 앞으로 밝혀내야 될 일들이 더 있겠구나, 생각하게 만드는 대화입니다.

김지성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기자>

2016년 3월 가수 승리 씨가 자신의 사진이 크게 실린 외국 신문 1면을 단체 대화방에 올립니다.

대화방의 다른 멤버들이 FT 아일랜드 최종훈 씨의 음주 운전도 크게 보도될 뻔했다며 대화를 이어갑니다.

특히 음주 단속에 걸려 처리하는 과정에서 온갖 부정한 방법을 동원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대화들이 등장합니다.

최 씨는 단체 대화방 혹은 개인 대화방에서 승리 씨의 사업 파트너로 알려진 유 모 대표 덕분에 살았다, 수갑을 차기 전에 누군가에게 1천만 원을 주려 했다고 거리낌 없이 말합니다.

최 씨의 이런 말에 대화방의 다른 멤버들은 "심쿵했겠네", "사인한 음반 CD라도 드려라"라는 반응을 보입니다.

"좋은 경험했다", "수갑도 차보고", "경찰 앞에서 도망도 가보고", "스릴 있었겠다"라는 대화도 있습니다.

단순 음주 운전이 아니라 도주 끝에 수갑까지 찬 것으로 의심되는 사건이었지만 죄의식 없이 농담 섞인 대화가 오갑니다.

경찰에서 검찰로 사건이 넘어가자 최 씨는 "검찰 조사에서 자신의 음주운전 사실이 들통날까 봐 조마조마하고 있다"고 심경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최 씨는 결국 250만 원의 벌금과 100일 면허정지 처분을 받았지만 언론에 보도되지는 않았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있었던 다른 연예인의 음주운전 사건 보도 내용을 거론하면서는 이런 대화까지 나눕니다.

승리 씨는 "왜 대처를 못했지?", "어떻게든 보도를 막으면 되지 않나?", "기획사가 해당 연예인을 버린 것"이란 글을 올렸습니다.

범죄를 저질러도 대처만 잘하면 사건 자체나, 언론 보도를 막을 수 있다는 인식이 깔린 것으로 보입니다.

[임지봉/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소장 : 청소년들의 우상이라는 아이돌들이 여러 가지 비행을 저지르고 오히려 그것을 권력을 통해서 덮으려고 한 점은 더 많은 비난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경찰과 유착, 그에 따른 비호 아래서 법과 공권력을 우습게 보는 특권 의식이 싹텄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SBS 비디오머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