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민 5명 중 1명 "과거도 현재도 불행…미래도 희망 없다"

국민 5명 중 1명 "과거도 현재도 불행…미래도 희망 없다"
우리나라 성인 약 5명 중 1명은 "과거에도 현재에도 불행하고 미래에도 불행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행복취약층'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명 중 7명은 "자칫하면 하층으로 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하고, 3명 중 1명은 "일류 직장에서 시작하지 못하면 평생 꼬인다"고 보는 등 사회시스템과 사회이동성에 대해 큰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복지포럼' 최신호에 실린 한국인의 행복과 행복 요인'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20.2%는 '현재 불행하며 과거에 비교해 나아지지 않았고 미래도 희망적이지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과거보다 나아졌으나 현재 불행하고 미래도 희망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2.4%로, 성인의 22.4%는 '희망취약층'으로 분류됐습니다.

이런 희망취약층에는 가구 소득과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들이 많았고, 60대 이상 고령층과 40·50대 남성이 비율도 높았습니다.

'현재도 괜찮고 미래도 대략 괜찮다'는 응답은 56.7%였습니다.

'현재 불행하지만 미래는 희망적이다'는 응답은 18.2%, '현재 괜찮으나 미래는 불안하다'는 2.6%였습니다.

이런 결과는 한국개발연구원이 올해 국민행복지표 개발 연구를 하면서 성인 2천명을 설문조사해 나온 것입니다.

응답자들은 우리 사회에서는 패자부활이 힘들다는 인식을 강하게 드러냈습니다.

'우리 사회에서는 사업 실패나 파산 등의 상황을 맞이하면 웬만하면 회복할 수 없다'에 동의하는 응답자는 55.9%에 달했고, '첫 직장에 들어갈 때 소위 일류 회사에 못 들어가면 평생 꼬인다'는 응답도 35.7%였습니다.

'본인이나 가족이 심한 중병에 걸리면 가정경제가 무너지기 십상이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67.3%에 달해 '재난적 의료비'에 대한 불안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회이동성 측면에서, '하층으로의 이동 가능성'을 물은 결과, '가능성이 너무 크다' 15.1%와 '가능성이 약간 있다' 56.8%를 합치면 10명 중 7명은 삶의 수준이 자칫하면 떨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었습니다.

유엔의 2018년 세계행복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행복지수는 5.875점으로 국가별 비교 순위로는 157개국 중 57위였습니다.

국민이 느끼는 행복의 격차를 알아보는 '행복불평등도'는 한국이 2.155점으로 157개국 중 96위였습니다.

(사진=픽사베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