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가가 가둔 여성들…'몽키하우스'를 잊지 마세요

국가는
나를 원숭이로 만들었다.

“거기만 들어가면 여자들이
 철창에 매달려서 소리를 질렀어.

 꼭 동물원 원숭이 같아서
 그 건물을 ‘몽키하우스’라 불렀지.”
1960년대 초 동두천, 평택 등지에는
‘몽키하우스’라고 불리는
성매매 여성 수용소가 설립됐습니다.

성병 진단을 받은 낙검자*들이
강제로 갇혀 치료를 받았습니다.

낙검자: 성매매 여성 중 성병이 있다고 진단된 여성

몽키하우스에 수용된 이들은
미군 기지 주변에서 성매매에 종사하던
여성들이었습니다.

이들을 가둔 건
다름 아닌 ‘국가’였습니다.

   1954년 11월
미군의 한국 주둔이 공식 인가됐습니다.

이때부터 부대 근처엔
생계가 어려운 여성들이 모여들어
 미군을 상대로 성매매를 했습니다.

1961년 윤락행위 방지법이 제정되면서
성매매가 금지됐지만

기지촌만은 예외였습니다.

국가는 기지촌 내 성매매를
눈감아주는 것을 넘어
적극 개입했습니다.

성매매 종사자들의 성병을 관리하고
애국 교육도 실시했습니다.

교육시간에 공무원들은
성매매 여성들을 ‘외화 버는 애국자’라고
칭송했습니다.

‘다리를 꼬고 무릎을 세워 앉으라’며
미군 앞에서 취할 태도에 대해
말하기도 했습니다.

성병에 걸리면
범죄자 취급을 받았습니다.

몰래 성매매를 할지 모른다는 이유로
‘낙검자 수용소’에 가뒀습니다.

격리된 여성들은 성병 치료제인
페니실린 주사를 맞았습니다.

“그거 맞았다가
궁둥이가 떨어져 나가는 줄 알았어.”

- A 할머니


부작용 검사도 제대로 받지 못한 채
페니실린 주사를 맞았다가
숨진 경우도 있었습니다.

“주사 맞고 쇼크가 생겨
죽은 여자들도 여럿이었어.”

- B 할머니


왜 
국가가 나서 
성매매를 조장한 걸까요?



첫째로, 미국과의 군사동맹을
공고히 다지려는 목적,

둘째로,
외화벌이 때문이었다는 분석입니다.


“한국 외화 수입이
1억 달러에 불과했던 1964년,
성매매가 이뤄지던
미군 전용 댄스홀에서 벌어들인 돈은
970만 달러에 달했습니다.”

-이나영 교수 / 중앙대 사회학과



2014년 기지촌 출신 여성들은
국가가 성매매를 조장했다며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지난 8일 법원은
국가의 책임을 인정하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국가에 의한 성매매 조장을 최초로 인정한
역사적인 판결입니다.



“원고들이 직접 현대사의 
아픈 부분을 꺼내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하주희  변호사(원고 측 공동대리인)

“1명당 위자료는 300~700만 원에 불과한데
위자료로 끝나서는 안 됩니다.

이제라도 정부가 실태 조사를 해
할머니들을 지원해줘야 합니다”

-우순덕  대표 / 햇살사회복지회


국가가 국민을 상대로
성매매를 조장한 희대의 사건.

그 역사적 진실을
우리는 절대 잊어선 안 됩니다.
1960년대 초 동두천 등 경기도 곳곳에는 성매매 여성 수용소가 설립됐습니다. 성병 진단을 받은 여성들은 이 수용소에 강제로 갇혀 치료를 받았습니다. 이 수용소는 '몽키하우스'라고 불렸습니다. 여성들이 수용소 철장에 매달려 소리를 지르는 모습이 꼭 동물원 원숭이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몽키하우스'에 수용된 이들은 미군 기지 주변에서 성매매에 종사하던 여성들이었습니다. 1954년 11월 미군의 한국 주둔이 공식 인가되면서 이때부터 부대 근처에는 생계가 어려운 여성들이 모여 미군을 상대로 성매매를 했습니다. 윤락행위방지법에 따라 성매매가 금지됐지만 기지촌만은 예외였습니다.

국가는 안보와 경제에 도움이 된다는 이유로 기지촌 내 성매매에 대해 적극 개입하기까지 했습니다. 국가는 기지촌 성매매 종사자들의 성병을 관리하고 애국 교육도 실시했습니다. 공무원들은 성매매 여성들을 '외화를 버는 애국자'라고 칭송하기도 했습니다.

2014년 기지촌 출신 여성들은 국가가 성매매를 조장했다며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지난 8일 법원은 4년 만에 성매매를 조장한 국가의 책임을 인정한 판결을 내렸습니다. 국가가 국민을 상대로 성매매를 조장한 희대의 사건, 그 역사적 진실을 우리는 절대 잊어선 안 됩니다.


기획 하대석, 채희선, 박수정/ 그래픽 김민정

(SBS 스브스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