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제1,317차 수요집회 "'위안부' 문제 더 적극 해결해야"

제1,317차 수요집회 "'위안부' 문제 더 적극 해결해야"
▲ 10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317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서 참가자들이 위안부 할머니들을 응원하는 내용의 피켓을 들고 있다. 

정부가 어제(9일) 발표를 통해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는 문제의 진정한 해결이 아니라고 지적하면서도 일본에 재협상을 요구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을 밝히자 오늘 위안부 피해자 지원단체들은 정부에 더 적극적인 노력을 촉구했습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오늘 정오 서울 종로구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제1,317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를 열고 "정부가 일본의 자발적 조치만을 기대한다는 것은 모순"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대협은 성명서를 통해 "2015 한일 합의는 이면 합의로 소녀상 철거 및 국제사회에서의 위안부 문제 언급 자제 등을 약속한 부당한 합의"라면서 '화해치유재단 즉각 해산'을 요구했습니다.

윤미향 정대협 공동대표는 수요집회에서 "이면 합의가 존재했음이 밝혀진 2015 합의는 쓰레기통으로 가야 하고, 흔적도 없이 태워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제 정부는 일본 정부에 당당하게 한일 합의 무효, 공식 사죄 및 법적 배상, 재발 방지 조치, 올바른 역사교육 등을 요구해야 한다"면서 "전 세계 위안부 피해자들과 전쟁 중 성폭력 피해자들이 한국 정부를 지켜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어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한일 위안부 합의 처리 방향을 발표하면서 "2015 합의는 진정한 문제 해결은 아니었지만, 공식 합의임은 부인할 수 없다"며 "일본이 스스로 진실을 인정하고 피해자들 명예 회복과 상처 치유를 위한 노력을 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수요집회에 앞서 오전에는 대학생단체 평화나비네트워크와 대학생겨레하나, 평화단체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평통사)'이 외교부 앞에서 잇따라 기자회견을 열고 2015 한일 합의 무효화와 화해치유재단 해산, 10억엔 반환을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지난 1991년 8월 故 김학순 할머니의 첫 피해 증언이 이뤄진 후에 당시 일본 총리의 방한에 맞춘 1992년 1월 8일 첫 집회로 시작된 수요집회는 오늘로 26주년을 맞이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