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전국 대피시설 둘러보니…멀고, 없고, 안 들리고 '허술'

<앵커>

한반도에서 군사적 충돌은 없어야 겠지만, 만의 하나 긴박한 상황이 찾아올 경우에 우리 주변의 대피시설은 잘 돼 있을까요? 점검해 봤더니 예상하시는 그대로였습니다.

전병남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의 한 주택가입니다. 스마트폰으로 대피소 위치를 알려주는 국민안전처 앱을 켜고 주변을 찾아봤습니다.

가장 가까운 대피소를 제가 직접 시간을 재면서 걸어가 보겠습니다.

실제 상황을 가정해 빠른 걸음으로 걸었습니다. 가장 가까운 대피소를 찾아왔는데도 15분 넘게 걸렸습니다.

재난 경보 후 5분 내에 대피해야 하지만 이 정도라면 안전한 대피는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이재은/충북대 국가위기관리연구소장 : 위험성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지는 거죠. 최단시간 내에 안전하게 대피시설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근접성을 확보하고 있어야 합니다.]

경기도의 한 마을입니다. 1만 4천 명이 사는데도 대피소가 하나도 없습니다.

읍·면·동 기준으로 다섯 곳 가운데 한 곳엔 대피소가 아예 없습니다.

[경기도청 관계자 : (대피소가) 있어야 하는 게 맞는데, 지정할 수가 없으니까 공백상태로 놔두는….]

부실한 건 대피소뿐만이 아닙니다.

EMP탄 공격 등으로 통신망과 인터넷이 먹통이 됐을 때 귀가 되어 줄 경보 스피커도 태부족입니다.

규정대로라면 전국에 3천 503개가 비치돼야 하는데 실제론 절반도 안됩니다.

[이종명/자유한국당 의원 : 위기상황임을 인지할 수 있는 경보 스피커 부족으로, 국민 안전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정부고 정치권이고 입버릇처럼 안보를 외치지만 정작 국민 안전 대책은 허술하기 그지없습니다.

(영상취재 : 이재경·신동환, 영상편집 : 김종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