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신라왕실이 사용한 8세기 수세식 화장실 유적 경주서 발견

신라왕실이 사용한 8세기 수세식 화장실 유적 경주서 발견
▲ 경주 동궁에서 나온 변기

신라의 태자가 생활한 별궁인 경주 동궁에서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 중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수세식 화장실 유적이 나왔습니다.

우리나라 고대 화장실 유적 중에 화장실 건물과 석조변기, 오물 배수시설이 모두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오늘(26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경주 '동궁과 월지'(사적 제18호) 북동쪽 지역에서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한 초석 건물지 내 석조변기와 배수시설을 공개했습니다.

이 건물지는 정면 2칸, 측면 1칸 규모로, 전체 넓이는 24㎡입니다.

석조변기는 두 개의 방 가운데 한쪽에만 설치됐습니다.

출토 당시 석조변기는 타원형 변기 좌우에 발을 디딜 수 있는 널찍한 직사각형 판석이 하나씩 놓여 있었습니다.

사람이 쪼그리고 앉아 용변을 보면 오물이 암거(물을 빼낼 수 있도록 밑으로 낸 도랑)를 통해 배출되는 형태입니다.

타원형 변기는 길이 90㎝, 너비 65㎝ 크기입니다.

옴폭 팬 변기에는 직경이 약 12㎝인 구멍이 뚫려 있습니다.

이 구멍은 기울어진 암거를 통해 배수로와 연결됩니다.

타원형 변기 위에 올린 판석은 길이가 175㎝, 너비가 60㎝입니다.

연구소 측은 판석 또한 과거에 다른 장소에서 변기로 사용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습니다.

타원형 변기를 제작한 뒤 발판을 만들기 위해 판석을 가져와 재활용했다는 것입니다.

다만 발판으로 놓는 과정에서 판석의 좌우를 바꿔 배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종훈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장은 "판석의 아귀를 맞추면 가운데에 타원형 구멍이 생기는데, 구멍 옆에는 볼록하게 솟은 별도의 발판이 있다"며 "화장실 옆에 있는 또 다른 방은 용도를 정확히 알지 못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 소장은 이어 "물을 유입하는 설비가 따로 갖춰지지 않은 점으로 미뤄 항아리에서 물을 떠서 변기에 흘려 오물을 씻어 내렸던 것으로 보인다"며 "화강암이 쓰였고, 변기 하부와 배수시설 바닥에 타일 기능을 하는 사각형 전돌을 깐 것을 보면 신라왕실에서 사용한 고급 화장실로 판단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경주와 익산 등지에서 고대 화장실 유적이 출토됐습니다.

익산 왕궁리에서는 7세기 배수저류식 화장실 유적과 뒤처리용 나무 막대기가 나왔으나, 석조변기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또 경주 불국사에서는 8세기에 제작된 변기형 석조물이 발견된 바 있습니다.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화장실 유적 외에도 남북 길이 21.1m, 동서 길이 9.8m인 대형 가구식 기단 건물지가 확인됐습니다.

가구식 기단은 석재를 목조가구처럼 짜 맞춘 기단을 말합니다.

이 건물지는 통일신라시대 왕경 도로와 맞닿아 있고, 규모에 비해 큰 계단시설이 있으며, 거대한 적심(주춧돌 주위에 쌓는 돌무더기)이 발견돼 그간 경주 동궁에서 나오지 않았던 출입문(동문)일 가능성이 크다고 연구소는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길이가 110m에 이르는 배수로와 깊이가 7.2m인 우물에서도 새로운 유물이 출토됐습니다.

배수로는 통일신라시대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매립 당시 바닥에 소의 골반뼈를 두고 토기를 놓았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또 우물은 통일신라시대 말기에 토기와 작은 사슴을 넣어 의례를 지낸 뒤 폐기됐는데, 그 위의 토층에서 인골 4구가 나왔습니다.

이에 대해 장은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인골은 30대 남성과 8세 소아, 3세 이하의 유아, 6개월 미만의 아이로 분석됐는데, 모두 고려시대에 묻혔다"며 "우물을 무덤처럼 활용한 것인지, 인신공양 의례를 지낸 것인지는 아직 단정할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과거에 안압지로 불린 동궁과 월지는 7세기 후반에 조성됐습니다.

1975년 조사에서 인공 연못과 섬, 건물지가 발굴됐고 유물 3만여 점이 출토됐습니다.

2007년부터는 동궁과 월지 북동쪽에서 조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장 연구사는 "발굴지역에서 나오는 기와와 토기의 양상은 1975년 안압지에서 발견된 유물과 비슷하다"며 "동궁은 7세기 후반부터 10세기 초반까지 사용됐다"고 말했습니다.

이 소장은 "신라 동궁의 영역은 학계에서 논란이 있는데, 이번 조사로 동궁의 궁역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파악할 수 있는 단초를 확보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사진=문화재청 제공/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