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文 대통령 유엔데뷔전 관전 포인트는…北 압박하며 '평화' 강조

文 대통령 유엔데뷔전 관전 포인트는…北 압박하며 '평화' 강조
문재인 대통령이 이번 주 다자 정상외교의 본(本) 무대인 유엔 총회에 데뷔한다.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이 국제 안보체제를 위협하는 최대 이슈로 부상한 상황에서 한반도문제의 직접 당사국 정상인 문 대통령이 어떤 메시지와 행보를 보이느냐는 국제사회의 커다란 관심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문제의 평화적 해결이라는 궁극적 기조를 견지하면서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내기 위해 국제사회 전체가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중심으로 '공조'하고 '협력'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문 대통령이 구상하는 유엔 외교의 핵심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한·미·일 정상이 지난 7월 독일 함부르크 회동에 이어 두달여만에 뉴욕에서 만나고 한·미 정상이 양자회동을 추진하고 있는 것은 이런 맥락에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우리나라 정상이 취임 첫해에 유엔총회 무대에 오르는 것은 1991년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 이후 처음이다.

그만큼 현 시점에서 북핵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위해 국제사회 전반의 관심 환기와 공동 노력이 시급하다는 인식이 깔려있다.

내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분위기'를 띄우는 것도 이번 유엔외교의 핵심 미션이라고 할 수 있다.

단순한 국제스포츠 행사 차원을 넘어 '평화의 올림픽'이라는 이미지를 국제사회에 홍보하고 보다 많은 관심과 지지를 이끌어내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 北 압박하며 '평화 콘셉트' 띄우기

문 대통령 유엔 데뷔전의 최대 하이라이트는 21일로 예정된 문 대통령의 유엔총회 기조연설이다.

일차적 초점은 북한의 6차 핵실험과 대륙간 탄도미사일(ICMB) 도발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더 강한 압박'에 놓일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북한을 조속히 대화의 길로 이끌기 위해 국제사회가 안보리 결의 2375호를 충실히 이행하며 일치단결된 공조를 하도록 촉구하는 게 핵심 메시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연설문 전반을 관통하는 상위개념은 '평화'가 될 가능성이 크다.

북한의 도발을 확실히 응징하고 국제사회의 단합된 압박을 강조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대화와 협상 과정을 통해 '평화적 해결'을 달성해야 한다는게 문 대통령의 흔들림 없는 소신이기 때문이다.

이는 현재의 한반도 위기가 단순히 '안보이슈'가 아니라 '평화이슈'라는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북핵문제 해결이 한반도 평화체제와 통일기반을 구축하는 '과정'이 되고 이것이 동북아의 울타리를 넘어 전세계 평화구축과 안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는 메시지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 첫 행보는 유엔 사무총장 접견

오는 18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에 도착하는 문 대통령의 첫 행보는 바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의 접견이다.

이는 한반도 위기의 해법을 모색하는데 있어 의미있는 계기점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강대국들이 주도하는 안보리와는 별개로 '세계의 대통령'인 유엔 사무총장이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쓸 수 있는 '카드'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반기문 사무총장은 지난 2010년 2월 대북 특사로 린 파스코 유엔사무국 정무담당 사무총장을 평양에 보낸 바 있다.

정부가 지난주 800만 달러 규모의 대북 인도주의 지원 방침을 발표한 것도 구테흐스 총장과의 접견에 앞서 유엔 활동을 적극 지원하는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주려는 차원이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와 관련해 문 대통령은 지난 11일 반 총장을 만나 북핵문제와 관련한 조언을 청취한 바 있다.

◇ 한·미·일 '삼각 압박공조' 강화…한·미 정상회담 추진 = 북핵 문제와 맞물린 주요 관전포인트의 하나는 오는 21일로 예정된 한·미·일 정상회동이다.

세 정상이 만나는 것은 지난 7월7일 독일 함부르크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만나 공동성명을 발표한 이후 두달여만이다.

이에 따라 북한의 6차 핵실험과 ICBM 도발에 다른 한반도 위기상황을 평가하고 현행 압박과 제재의 수위를 더욱 높이는 방안이 조율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 7월에 이어 또다시 공동의 입장표명을 도출해낼 경우 그 상징성과 함께 실효적 효과도 적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외교가에서는 현 단계에서 가용한 외교·군사적 옵션이 모두 3국 정상간 논의 테이블에 오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문 대통령은 대북 원유공급 중단과 같은 '실효적 제재'를 끌어낼 수 있도록 중국을 상대로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자고 촉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우리 정부의 대북 인도주의 지원 방침을 놓고 '시기'와 '속도'에 대한 문제 제기가 나올 공산도 있어 보인다.

한·미·일 3자 회동과 맞물려 한·미 정상회담도 추진되고 있다.

다만 대북 제재에 실질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중국, 러시아와는 이번에 접촉할 기회가 없을 것으로 알려졌다.

◇ 주변 4강(强) 넘어 '북핵 협력외교' 외연 확장

문 대통령은 이번 유엔 순방계기에 이탈리아를 비롯한 5∼6개국과 잇따라 양자 정상회담을 추진하고 있다.

이 경우 주변 4강인 미·일·중·러가 신(新) 냉전적 구도를 보이는 흐름 속에서 유럽 등지로 북핵 외교의 외연을 넓히는 것은 국제사회의 대북공조를 강화한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 평창동계올림픽 '붐업' 나선다

이번 순방에서 문 대통령에게 주어진 임무는 평창동계올림픽 붐 조성이다.

세계 120여개국 정상급 인사들이 모이는 자리인 만큼 이번이 한국에서 열리는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를 알릴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평창동계올림픽 홍보대사이기도 한 문 대통령은 지난달 문화체육관광부 업무보고에서 "9월 유엔총회에 참석하기로 한 것도 평창동계올림픽을 세계에 홍보하려는 목적이 크다"고 했을 정도로 올림픽 성공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특히 한반도 위기와 맞물려 '평화와 화합의 올림픽'이라는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데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