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라이프] 봄나들이에서 입은 상처…'침'으로 소독해도 될까?

[라이프] 봄나들이에서 입은 상처…'침'으로 소독해도 될까?
따뜻한 봄 날씨와 황금연휴의 영향으로 야외활동 인구가 늘고 있습니다. 얇아진 옷차림으로 야외에서 활동하다 보면, 상처를 입거나 발목을 삐끗하는 일이 자주 생깁니다. 외부에서 응급 상황을 마주하면 당황하기 마련입니다.

대처 방법을 잘못 알고 있는 경우도 많은데, 상처에 적절한 관리가 이뤄지지 않으면, 세균 감염이 생겨 회복을 더디게 할 수 있습니다. 오늘 SBS 라이프에서는 야외활동에서 겪을 수 있는 응급 상황에 대처하는 법을 알아봤습니다.

■ 상처 부위, 침으로 소독해도 될까?

야외활동 중 생긴 상처 부위를 입으로 빨거나, 침 등으로 소독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행동은 위험합니다. 입안에 있는 세균이 상처로 옮겨가 염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소주 등의 술로 상처 부위를 씻는 것도 위험합니다. 술의 알코올 성분은 소독용이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상처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상처부위 침이나 소주로 소독은 위험해
야외활동 중 넘어지거나 날카로운 곳에 부딪히면 피가 나는 경우도 생깁니다. 피가 흐르는 상처 부위를 물로 먼저 씻는 경우가 있는데, 그보다는 지혈을 먼저 하는 게 중요합니다. 우선 지혈을 위해 상처 부위를 깨끗한 수건이나 거즈로 완전히 덮습니다. 그 위를 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압박해 어느 정도 피가 멈추면, 수돗물이나 깨끗한 물로 상처 주변의 흙이나 오염 물질을 제거해야 합니다.

지혈 처치 후 피가 멈추지 않는다고 해서 상처 부위를 천 등으로 꽉 묶는 것은 위험합니다. 피가 통하지 않아 오히려 상처 부위에 손상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상처 부위가 크고 완전히 찢어진 경우에는 응급처치 후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 연고와 습윤밴드, 효과가 다르다?

소독이 끝난 상처에는 연고를 바르거나 상처 부위의 진물을 흡수하는 습윤밴드를 붙이는데요, 연고와 습윤밴드는 감염 의심 여부에 따라 효과가 다르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연고와 습윤밴드
흙이나 기타 오염 물질에 의해 세균에 감염된 상처는 빨갛게 부어오릅니다. 이 경우, 항생제가 포함된 연고를 바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연고는 소량으로 나눠 바르고 만약 사용 기간이 일주일을 넘어도 상처에 효과가 없으면, 사용을 중지하고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감염 위험이 없는 상처라면 소독 후 습윤밴드를 붙이는 게 좋습니다. 습윤밴드는 상처 부위의 적절한 습윤 상태를 유지해 건조한 환경에 비해 효과적으로 상처가 회복되기 때문입니다.

■ 화상 환부에 얼음을 문질러라?

야외로 캠핑을 가서 발열기구를 사용하다가 화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화상을 입었을 때는 화기(火氣)를 제거하는 게 급선무입니다. 우선 옷이 피부에 달라붙으면 화상 환부에 자극과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주변 사람의 도움을 받아 옷을 천천히 벗거나 환부 주위만 가위로 자르는 것이 좋습니다.
화상 환부에 얼음 문지르기 위험하다
화상 환부는 흐르는 찬물에 식혀야 합니다. 수압이 너무 세거나 얼음을 화상 부위에 직접 문지르는 것은 상처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얼음을 사용할 때는 비닐에 담거나 천에 싸서 화상 환부를 마사지하듯 문지르는 것이 좋습니다. 화기를 제거한 후에는 빨리 병원에 방문해 화상 치료를 받는 게 가장 효과적입니다.

■ 발목 삐끗, 냉찜질할까? 온찜질할까?

야외활동 중에는 발목을 접질리거나 발을 헛디뎌 발목이 삐끗하는 일도 자주 발생합니다. 이처럼 근육의 이완이나 경직으로 인대가 손상되는 것을 '발목 염좌'라고 합니다. 심한 경우에는 발목 관절 주변 인대가 파열되거나 관절 탈구가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염좌는 3단계로 구분됩니다. 인대가 늘어났지만 어느 정도 움직임이 가능한 1도 염좌, 인대가 부분적으로 파열된 상태로 부종이나 멍 등 극심한 통증이 동반될 수 있는 2도 염좌, 인대가 완전히 파열돼 경우에 따라 수술이 필요한 3도 염좌로 나뉩니다.

1도 염좌인 경우에는 천이나 붕대로 압박하거나 냉찜질 등을 통해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2도나 3도 염좌로 판단되면, 응급처치 후 바로 병원을 찾아 정밀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냉찜질은 다치고 나서 하루나 이틀까지가 적절합니다. 다만, 동상 위험이 있기 때문에 피부색이 파랗게 변하기 전에 찜질을 중단해야 합니다.
온찜질은 붓기가 가라앉으면 실시하자
온찜질은 부종이 잦아든 상황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온찜질은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해 관절이나 통증 손상 조직의 회복을 돕지만 붓기와 열감이 남은 상태에서 온찜질을 하면, 해당 부위의 혈관이 확장돼 출혈과 부종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기획·구성: 김도균, 장아람 / 디자인: 정혜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