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리포트+] '상아탑이 등골탑'…'원룸푸어' 전락한 대학생들

[리포트+] '상아탑이 등골탑'…'원룸푸어' 전락한 대학생들
최근 '○○푸어'라는 말 자주 들어보셨을 겁니다. 경제력에 비해 비싼 차를 사서 궁핍한 생활을 하는 '카푸어(car poor)', 지나친 교육비 지출로 생활비가 부족한 '에듀푸어(edu poor)' 등이 있습니다.

새 학기를 앞두고 대학가에는 '원룸푸어'가 등장했습니다. 원룸의 비싼 월세와 보증금에 '하우스 푸어'도 아닌 '원룸푸어'가 된 대학생들의 삶을 반영한 말입니다.

특히 신입생 수요가 몰리는 3월이 다가오면서, 대학가 월세가 다시 들썩이고 있습니다.

대학가 방값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으면서 대학생들과 그 부모들 사이에서는 '상아탑이 등골탑'이라는 자조 섞인 목소리마저 나오고 있습니다.

■ 대학가에 급증하는 '원룸푸어'

부동산 거래 애플리케이션 업체 '다방'에 따르면, 2월 기준 서울 대학가 원룸 평균 임대료는 보증금 1,158만 원에 월세는 48만 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15년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회가 서울·수도권 지역 대학생 1,006명을 대상으로 한 '대학생 원룸 실태조사'에서 집계된 월세 42만 원보다 6만 원 오른 가격입니다.

서울 한 대학가의 14㎡(4평)짜리 원룸은 1인용 침대 하나를 놓고 나면 남는 공간이 없지만, 임대료는 보증금 1천만 원에 월세 60만 원에 달합니다.
비싼 원룸
보증금을 월세로 환산하는 정부의 계산 방식을 따르면, 한 평(3.3㎡)당 월세는 16만 3천 원인 셈입니다. 그런데 도곡동 타워팰리스는 174㎡(53평) 기준으로 한 평당 월세가 15만 8천 원입니다.

대학가 원룸 월세가 부의 상징으로 불리는 타워팰리스보다 더 비싼 겁니다. 대학생과 그 부모가 월세에 등골이 휘고 있다는 게 빈말이 아닌 상황입니다.

■ 비싸다고 좋은 방도 아니다

비싼 월세를 냈다고 해서 쾌적한 거주 환경이 보장되는 것도 아닙니다.

부동산 거래 사이트에 등록된 대학가 원룸들을 살펴보면, 변기 바로 앞에 싱크대가 위치한 방도 있습니다. 화장실 안에 부엌이 있는 겁니다.
원룸
거꾸로 부엌에 변기가 딸린 방도 있고, 작은 냉장고 하나 놓을 자리가 없어서 싱크대 위에 억지로 올려놓은 곳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집들마저도 모두 계약이 완료된 상태입니다.

비정상적인 구조의 원룸은 월세가 5만 원에서 10만 원 정도 더 싸기 때문에 나오면 바로 나가는 상황인 겁니다.
[대학가 원룸 부동산 중개업자]
"구조가 비정상적인 집들은 학생들이 살 수 있는 마지막 단계의 끝물인데도 계속 구하고 있거든요. 금방 나가요."
보증금 1천만 원에 월세 60만 원, 관리비도 매달 5만 원씩 나가는 14㎡(4평)짜리 평범한 구조의 방도 상황은 다를 바 없습니다.

대학생 중에는 생활비의 절반을 월세로 내고 있지만, 식사할 공간이 없어 서서 끼니를 때우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학가 원룸 거주 대학생]
"집이 너무 좁아서 그냥 이렇게 서서 먹는 게 편해졌어요. 아르바이트를 두 개를 같이 했었거든요. 치킨집에서는 서빙이랑 설거지, 많이 벌 때는 110만 원 정도 벌고. 월세가 60만 원이니까, 절반 이상이 월세로 나간 거죠…."
보증금 마련이 어려운 대학생들은 '잠숙'을 찾기도 합니다. 잠숙이란 식사를 제공 받지 않고, 잠만 자는 하숙집을 의미하는데, 고시원보다는 넓은 방으로 하숙집 시세보다는 저렴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일부 대학교 커뮤니티에는 생활비와 관련해 고민을 토로하는 게시글도 심심찮게 발견됩니다.

"한 학기를 80만 원으로 버틸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게시글에는 "고정지출이 교통비뿐이라면 가능하다", "밥은 학식만 먹어라", "웬만하면 집에 있고 약속 잡지 마라"는 씁쓸한 댓글이 달리기도 했습니다.

■ 기숙사도 공공임대주택도 안 된다?

편안한 잠자리나 식사를 포기하는 대학생들이 늘고 있지만, 학생들의 주거 안정을 도와야 할 기숙사와 공공임대주택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전국 4년제 대학 180곳의 기숙사 수용률을 조사한 결과, 전국을 기준으로 19.5%, 서울 시내는 11.5%에 불과했습니다. 서울 시내 대학생 10명 중 1명만이 기숙사를 이용하고 있는 겁니다.
부족한 기숙사
대학들이 기숙사를 지어보려 해도 월세에 생계가 달린 일부 지역 주민의 반대를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임경지 / 민달팽이유니온 위원장]
"요즘에 대학 기숙사나 공공임대주택 지을 때 많은 임대업자분들이 반대를 하시잖아요. 기숙사가 생기면 기존 원룸이 공실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반대를 하시는 건데요…."

정부가 대학생 주거난 해결을 위해 진행하던 행복기숙사 건립 역시, 주민들이 대학생이 오면 성범죄가 늘어날 거라는 민원까지 넣어가며 반대하고 있어서 논의가 중단된 상태입니다.

[그래픽] 민원 화면
"기숙사를 설립하면 몇 년 동안 우리 아이들이 공사현장에 방치되고, 그것보다 두려운 것은 어린 초등학생을 상대로 한 성범죄입니다."
"밤마다 고성방가하고, 술 취한 남녀가 애정행각을 할 게 뻔한데…"
정부에서 지원하는 기숙사 설립마저 반대에 부딪힌 상황에서 학생들이 편안하게 누울 곳은 많지 않아 보입니다.

(취재 : 김종원 / 기획·구성: 김도균, 장아람 / 디자인: 정혜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