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43년 만에 수달이 한강으로 돌아온 까닭은?

한강내 수달 보존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수컷 유입 문제 등 검토해야

[취재파일] 43년 만에 수달이 한강으로 돌아온 까닭은?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인 수달 4마리가 서울 한강의 도심구간에서 최초로 발견됐습니다. 어미 수달과 새끼 3마리로 구성된 수달 가족이 서울 천호대교 북단 일대에서 한강유역환경청이 설치한 무인카메라에 포착된 겁니다.

한강유역환경청은 지난해 3월 한강 지류인 탄천에서 수달을 목격했다는 시민제보에 따라 10개월 동안 정밀조사를 벌인 끝에 수달 가족의 서식을 확인했습니다.

수달은 한강을 비롯한 전국의 강과 하천에서 흔히 발견돼 왔던 족제비과 포유류이나 수질오염과 모피를 위한 남획으로 개체수가 급격하게 줄었습니다. 한강의 경우 1973년 팔당댐 건설과 한강 시민공원 개발로 서식지가 축소돼 팔당댐 하류 한강에서는 수달이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후 수달의 서식이 팔당댐 하류 한강 구간에서 드러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한강서 포착된 수달 모습
이번에 발견된 수달 가족은 암사 고덕 미사 구간 등의 한강 자연습지를 서식지로 삼아 한강 남북단을 오가며 생활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이 지역은 잠실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수달의 서식환경이 안전하게 유지되는 데다 물 흐름이 느리고 수심도 깊지않아 수달의 먹이사냥에 적합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그렇다면 이 수달은 어디에서 왔을까요? 수달보호협회 한성용 박사는 한강의 팔당댐 상류에서 넘어온 것으로 추측했습니다. 댐 자체를 직업 뛰어넘을 수는 없는 만큼 인근 도로로 우회해 한강 하류로 유입됐을 거라는 겁니다. "한강 하류 서해안 바닷가에서는 조수간만의 차가 크고 조류 속도가 워낙 빨라서 물살을 거슬로 오기가 힘들다. 팔당댐 상류에 있던 개체가 자동차 도로를 통해 이동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새끼들을 동반한 채 이동했다고 보기는 무리인만큼 아마 임신 상태에 있던 어미가 혼자서 하류로 넘어온 뒤 출산해 가족을 이룬 것으로 보인다"고 말합니다.
수달 출현 및 서식 추정지역
한 박사에 따르면 수달은 수생태계에 있어 상위 포식자로서 생태계를 균형있게 조절해주는 조절자 역할을 합니다. 수달의 주 먹잇감은 20센티미터 이상의 큰 물고기입니다. 큰 물고기를 사냥하다보니 상대적으로 큰 물고기의 먹잇감이 되는 작은 물고기들은 개체수가 늘어나게 되는 만큼 먹이사슬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는 설명입니다. 43년만에 수달이 한강에 돌아올수 있었던 건 그동안 한강 곳곳에 자연습지 구간이 생겨나 생각보다 수달이 서식하는데 기본조건을 갖췄기 때문이라는 평가입니다. 한강에 있는 물고기 자원도 수달 가족 생존에 충분한 것으로 연구자들은 보고 있습니다.

앞으로 한강에서 수달 가족이 건강하게 서식할 수 있을까요? 더 나아가 한강에서의 수달 복원사업으로 이뤄질 수 있을까요? 우선 걱정되는 것은 이번 수달 가족 가운데에는 아비가 없이 어미만 있어 추가 번식이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안정적인 번식을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수컷이 유입돼야 하는데 한강유역환경청은 전문가 협의를 거쳐 이 문제를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강 수달 보존에 있어 또 하나의 문제점은 한강공원을 돌아다니는 개입니다. 목줄이 풀어진 채 수변 공원을 돌아다니는 개는 수달에게 가장 큰 위협이 됩니다. 개로 인한 수달의 피해는 외국에서도 마찬가지고요. 이런 점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뤄지면 한강에서 수달을 복원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본격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