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중·장년 재취업 ② 퇴직은 있어도 은퇴는 없는 나라

'발등의 불' 고령사회

[취재파일] 중·장년 재취업 ② 퇴직은 있어도 은퇴는 없는 나라
관련 취재파일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태어난 이른바 베이버부머의 은퇴가 본격화되고 있다. 올해부터 시행된 법정정년을 가득 채웠다고 하더라도 56년생과 57년생은 이미 거의 은퇴했으며, 베이비부머의 마지막 세대들도  50대 중반을 바라보고 있다. 이들도 곧 은퇴대열에 합류할 것이다. 이들 베이비부머의 숫자는 720만 명을 웃돈다.

60세까지 정년을 채우는 직장인들은 그나마 낫다. 실제로 한국사회에서 정년퇴직을 하는 사람들의 평균 연령은 아직 50세 중반을 넘지 못하고 있다. 2014년도에 통계청이 발표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퇴직 평균 연령은 52.6세다. 이후 법정정년이 60세로 늘어났다고 해도 60세까지 다 채우기란 만만치 않다. 장기적인 불황에 따른 기업의 상황이 일단 녹녹치 않고 기타 이러저러한 이유로 자의든 타의든 직장을 떠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냉정한 현실이다.

법정정년이 이미 실시되고 있는 올해 한 해만 살펴봐도 정년으로 퇴직한 사람은 8.2%에 불과하다. 사업 부진 등의 기업 경영악화로 퇴직한 사람이 30%로 가장 많고, 권고사직이나 명예퇴직이 9.6%, 나이 들어 여러 가지 직장 생활의 불편함 등으로 퇴직한 사람도 8.5%가 된다. 결국 자신의 건강이나 가족 문제 때문에 자발적인 퇴사를 한 사람은 33% 정도에 불과하며 절반 이상이 마지못해 떠밀려 직장을 떠난 것이다.
일자리를 그만 둔 이유
그럼 은퇴 후 대한민국의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먼저 은퇴의 사전적 정의는 ‘직임에서 물러나거나 사회 활동에서 손을 떼고 한가히 지냄’이다. 사회생활에서 손을 떼고 한가히 지내면서 살아야 한다는 중장년 그리고 이후 노년들의 은퇴 후 생활은 실제로는 어떨까.

지난해 OECD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남성의 실질적인 은퇴 나이는 72.9세, 여성은 70.4세다. 여기에서의 은퇴란 먹고 살기 위한 경제 활동을 완전히 그만두는 나이를 말한다. 산술적으로만 따져도 우리나라 일반 직장인이 평균 52세에 정년을 맞이한 뒤, 20년 이상의 밥벌이를 계속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전 세계에서 가장 늦은 나이까지 일하는 나라가 우리나라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중장년 재취업
왜 계속 일하려고 하는가에 대한 대답은 명확하다. 60% 가까이가 생활비 보탬. 생계를 위해서라고 통계청은 밝혔다.
재취업을 원하는 이유
그런데 그 일자리가 매우 열악하다는 데 문제가 있다. 중장년층의 일자리가 단순노무직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은 이미 앞에서 밝혔다. 약간 연령을 높여 60세 이상의 일자리만 살펴보면 아찔하기까지 하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60세 이상 노인 일자리를 조사해보니 50만원 이하의 일자리가 45.7로 가장 많고, 100만원대에 26.7%, 100만원에서 150만원대에 17.6% 순으로 취업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만원 미만이 70%나 되고 그 일자리의 내용을 살펴보니 농림어업과 경비 청소관련업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통계청은 노인가구 가운데 일하는 사람이 있는 가구와 그렇지 않은 가구가 차이가 있지만 대략 절반정도의 가구가 빈곤하다고 밝혔다.

그래서 퇴직은 했지만, 쉬지 못하는 사실상 은퇴 없는 사회, 그것이 바로 대한민국 중장년과 노년층의 현재의 삶이다. 먹고 살기 위해 대한민국의 중장년들은 계속 일해야 하고 그래서 일자리 박람회나 잡페어 등이 있으면 모진 결심을 하고 참여하는 것이다.
채용게시판에서 일자리를 찾는 중·장년층
고령사회로 접어든 늙은 대한민국에서 지하철 거리 곳곳에서 만나는 노인들의 절반정도는 빈곤층이라는 암울한 현실이 맞닥뜨려져 있는 가운데, 곧 평균수명이 백세가 될 것이라는 예측이 마냥 축복으로만 들리지 않는 것은 이미 오래되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